의대교수들 "교육의 질 고민없는 땜질 처방…정부, 파국으로 내몰아"
"교육부. 잘못된 의대증원 정책 고수 사과해야"
"미래 의료 암울할 수밖에…해결책 마련해야"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서울 소재 의과대학 앞에서 한 시민이 길을 걷고 있다. 2025.05.09. mangusta@newsis.com](https://image.newsis.com/2025/05/09/NISI20250509_0020802973_web.jpg?rnd=20250509153000)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서울 소재 의과대학 앞에서 한 시민이 길을 걷고 있다. 2025.05.09. mangusta@newsis.com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의과대학 교수단체가 14일 "교육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고민과 준비도 없이 땜질식 처방으로 교육을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12일 브리핑에서 2026학년도 예과 1학년 수업 규모가 '트리플링'(tripling)으로 1만명이 되는 것이 아닌 5500~6100명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예과 교육뿐 아니라 본과 3~4학년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 또한 문제 없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의대 교수들이 우려를 표한 것이다.
협의회는 "대규모 증원 시 교육병원들이 정상적인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을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을 정부가 인정한 꼴"이라며 "의대생의 휴학 등이 없었다 해도 2~3배로 과도하게 증원된 대학들에서는 제대로 교육할 여건이 안된다"고 꼬집었다.
협의회는 "지역의료원, 지역2차 병원들이 주먹구구식으로 의대생 교육과 전공의 수련을 분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국립대병원, 사립의대부속병원 등 교육병원이나 수련병원에서 감당하지 못해 등 떠밀리듯 교육해선 안된다"고 했다.
협의회는 "교육부는 잘못된 의대증원 정책을 고수하기 위해 땜질 처방으로 일관해 의학교육현장을 파국으로 내몰았음에 대해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대학생의 유급 및 제적은 대학의 학칙에 따라 각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판단하는 사안"이라며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편법적인 편입학으로 그 자리를 모두 채울 것이라고 협박하는 교육부와 대학 총장들은 의학 교육 뿐 아니라 이공계 교육까지 파괴하려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협의회는 "작년부터 이어지는 보건복지부와 교육부의 강압적인 행정 지도들은 '20세기 군부독재시대'로 돌아간 것이 아닌가 하는 착각마저 들게 한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합리적, 비민주적 정책을 추종했던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이제라도 솔직하게 오류를 인정하고, 근본적 수습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아울러 "의학교육의 파행이 지속된다면 미래 의료는 암울할 수 밖에 없다"며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의료계, 정치계, 정부 모두 합심해 시급하게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nyon@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