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美서 전자상거래 사업 시작…"중국산 제품 美에 제공"
이르면 8월 초 미 소비자 대상 프로그램 런칭
아마존과 비슷한 온라인 쇼핑몰 구축이 목표
![[보스턴=AP/뉴시스] 핸드폰 화면에 띄워진 틱톡 로고. 2022.10.14](https://image.newsis.com/2023/03/23/NISI20230323_0000067841_web.jpg?rnd=20230329162533)
[보스턴=AP/뉴시스] 핸드폰 화면에 띄워진 틱톡 로고. 2022.10.14
틱톡의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로 이미 미국에서 사업을 진행 중인 중국의 쇼핑 앱인 테무, 셰인과의 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WSJ은 이 계획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 틱톡이 이르면 8월 초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틱톡은 사용자들이 하나의 페이지에서 상품을 보고 구매할 수 있는 아마존과 흡수한 틱톡 쇼핑 센터를 만들려고 한다. 사용자들은 사이트가 구축되면 틱톡 프로그램이나 외부의 소매업자들이 직접 판매하는 상품을 눈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움직임은 미국에서 또 하나의 판매자 플랫폼을 생성하려는 틱톡에게 전자상거래 전략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WSJ은 전했다.
미국의 상인들은 틱톡의 미래를 둘러싼 정치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서비스에 가입하는 것을 꺼렸기 때문에 틱톡으로서는 미국에서의 런칭을 늦출 수 밖에 없었다. 틱톡은 미국에서 국가안보 문제로 금지될 가능성에 직면해 있다.
틱톡의 새로운 전자상거래 모델은 자사의 인기 동영상 앱에서 더 많은 수익을 얻고자 판매자 생태계를 확장하고 광고 팬매 방식을 다각화하는 것이 목표다. PDD 홀딩스의 자회사 테무와 셰인은 작년 미국 시장에서 8억 달러(약 1조 234억원)의 수익을 창출했다.
틱톡은 올해 자사의 앱 상품 총 가치를 지난해(50억 달러)의 4배 수준인 200억 달러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틱톡 숍은 미국 현지의 사업체가 플랫폼에서 입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데 최우선 순위를 둘 것이라고 틱톡의 대변인은 말했다.
전문가들은 틱톡 전자상거래 미국 시장 진출은 틱톡이 이미 미국 규제 당국과 경쟁자들로부터 받는 압박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이 틱톡을 통해 미국인 사용자의 데이터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며 틱톡이 미국 사업장을 매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에서 일했던 기술자 아이비 양은 "시장 자체가 경쟁이 치열할 뿐만 아니라 사업이 잘 되면 도전도 더 커지기 때문에 틱톡으로서는 힘겨운 싸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sk@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