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90일간 관세 대폭완화…美→中 30%, 中→美 10%
美中, 상호관세 10% 수준으로 인하…보복성 추가관세 제거
미국, 올초 부과한 20% 관세는 유지…對中관세 30%
![[오사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6월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해 악수하고 있다. 2025.05.12.](https://image.newsis.com/2024/11/07/NISI20241107_0001623256_web.jpg?rnd=20250204163122)
[오사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6월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해 악수하고 있다. 2025.05.12.
백악관은 12일(현지 시간) 성명을 내고 양국이 오는 14일을 기준으로 90일간 서로 매긴 관세를 대폭 유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명은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 결과다.
미국은 구체적으로 지난 4월2일 발표한 대중국 상호관세 34% 중 기본관세 수준인 10%를 뺀 24%를 90일간 유예한다. 첫 상호관세 발표 이후 행정명령 수정으로 더한 91%의 보복성 관세 추가분도 없애기로 했다.
이로써 미국의 대중국 상호관세율은 기타 국가에 부과하는 10%의 관세율 수준에 머물게 됐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가 펜타닐 등에 관해 두 차례에 걸쳐 10%씩 부과한 20%의 기존 관세를 더하면 대중국 관세율은 30%가 된다.
중국도 미국과 동률로 부과했던 상호관세 34%를 90일간 10% 수준으로 낮추기로 했다. 아울러 이후 미국과의 치킨게임으로 단계적으로 부과한 91%의 추가관세는 역시 없앤다. 이로써 중국의 대미 관세율은 10%로 낮아진다.
양국은 이와 함께 향후 경제·무역 관계 논의를 지속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축하기로 했다.
성명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 중국에서는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가 대표단으로 협상에 계속 임한다.
향후 논의는 미국과 중국에서 번갈아 진행되거나 양국 합의하에 제삼국에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필요할 경우 고위급 외에 실무급 협상도 진행 가능하다.
◎공감언론 뉴시스 imzero@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