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공형 임금체계가 기업 경쟁력 저해"…고용부, 체계개선 지원 사업
업종별 임금체계 개선 확산 지원사업
자동차부품업·조선업·IT·바이오 등 대상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경기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2025.04.29. jtk@newsis.com](https://image.newsis.com/2025/04/29/NISI20250429_0020790393_web.jpg?rnd=20250429125744)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경기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2025.04.29. jtk@newsis.com
12일 고용부에 따르면 고용부는 '업종별 임금체계 개선 확산 지원사업'에 참여할 중견·중소기업을 모집하고 있다.
사업장 여건에 맞는 직무·성과 기반의 합리적인 임금체계를 업종 단위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전문 컨설팅, 표준모델 개발, 플랫폼 구축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고용부는 상당수 기업에서 운영 중인 연공형 임금체계를 개선 대상으로 봤다.
연공형 임금체계가 직무의 난이도 및 중요도, 업무 성과가 고려되지 않아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더 심화시킨다는 이유에서다. 또 근로자 개인의 근로의욕 저하, 기업 생산성 하락 등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올해 전통 주력산업인 자동차부품업, 조선업과 미래 신성장 산업인 정보기술(IT), 바이오 분야를 지원할 방침이다.
고용부는 해당 산업들이 인사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봤다.
자동차부품업의 경우 "탄소중립, 자율주행 기술 발전으로 내연기관에서 미래친환경차로의 대전환기에 놓여 있다"며 "내연기관 종사자의 직무 변화와 새로운 핵심 기술 직무에 맞는 평가 및 보상체계가 요구된다"고 했다.
또 조선업은 오랜 불황으로 숙련공들이 일터를 떠났고, 호황이 찾아와도 그 빈자리를 외국인력이 채우고 있다고 봤다.
이 밖에도 정보기술 산업을 두고 "뛰어난 개발자나 데이터 전문가 등 핵심 인재를 잡기 위한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고 했고, 바이오 산업에 대해선 "신약 개발처럼 긴 시간과 막대한 투자가 소요되는 연구 개발이 핵심"이라며 "전문성 높은 연구인력의 장기근속을 담보할 수 있는 보상 방안에 대해 업계가 고민이 많다"고 전했다.
고용부의 임금체계 개선 사업에 선정된 기업엔 임금체계 컨설팅 전문기관이 직접 방문해 심층 컨설팅을 제공한다.
또 기업의 현재 상황을 진단해 평가·보상체계,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개발, 조직 변화관리 등 인사노무관리 전반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업종별 전문가 협의체도 운영된다. 협의체는 각 업종의 특성과 이슈를 반영한 컨설팅 방향을 설정한다.
오는 13일 바이오 분야에서 첫 킥오프 회의가 진행된다.
한편 고용부는 개별 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업종별 임금체계 개선 표준모델을 개발할 방침이다.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기업들도 이 모델을 활용해 임금체계를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다.
김유진 고용부 노동정책실장은 "직무의 가치, 개인의 능력, 일의 성과를 공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임금체계는 업무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기업 경쟁력을 저해한다"며 "정부는 업종별 특성과 사업장 현실에 맞는 최적의 방안을 찾아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nnovation@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