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 외무장관 회의서 국방비 증액 논의…공감대 형성
뤼터안 '국방비 GDP 3.5%+간접비 1.5%' 다수 동의
트럼프 대통령 요구한 GDP 5% 충족…佛·獨 등 지지
![[브뤼셀=AP/뉴시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은 15일(현지 시간)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개최한 비공식 외무장관 회의에서 국방비 증액 방안을 논의했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사진은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이 지난해 12월 4일 나토 외교장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2025.05.16.](https://image.newsis.com/2024/12/04/NISI20241204_0001684405_web.jpg?rnd=20241205061822)
[브뤼셀=AP/뉴시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은 15일(현지 시간)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개최한 비공식 외무장관 회의에서 국방비 증액 방안을 논의했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사진은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이 지난해 12월 4일 나토 외교장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2025.05.16.
직접 군사비로 국내총생산(GDP)의 3.5%를 지출하고, 광범위한 안보 비용으로 1.5%를 지출하는 방식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요구한 'GDP 5%'를 충족하고자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이 제안한 것이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 요한 바데풀 독일 외무장관은 뤼터안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 (GDP의) 5%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지지 의사를 나타냈다.
장 노엘 바로 프랑스 외무장관도 "핵심 국방비 지출 3.5%는 적절한 목표치"라고 말했다.
안토니오 타야니 이탈리아 외무장관은 "이탈리아가 이번 주 들어 나토의 현 국방비 지출 가이드라인 'GDP 2%'를 달성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것은 첫 번째 단계"라며 "앞으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고 국방을 위한 자금을 늘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국방에 충분한 비용을 지출하지 않는 나토 국가들을 보호하지 않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미국을 포함해 현재 나토 32개 회원국 가운데 GDP의 5%를 국방비로 지출하는 국가는 없다.
뤼터 사무총장은 전쟁 중인 러시아가 군대를 재건하는 데 3~5년밖에 걸리지 않는다며 나토가 국방비 증액에 합의할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국방비 지출 가이드라인 상향은 내달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릴 나토 정상회의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공감언론 뉴시스 ksk@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