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여파' 4월 가계대출 5.3조↑…당국 "긴장 놓지 않겠다"
금융위-금감원 '4월 가계대출 동향' 발표

2025년 4월 업권별 가계대출 증가액. (자료=금융위원회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3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리 하락과 서울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 등으로 주택거래가 늘어난데다 증시 변동성 확대에 따른 '빚투'로 인해 신용대출도 증가했다.
14일 금융당국이 발표한 '2025년 4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에 비해 5조3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10월(6조5000억원) 이후 6개월만의 최대 증가폭이다.
주택담보대출이 4조8000억원 증가하여 전월(+3조7000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권 주담대는 3조7000억원, 제2금융권 주담대는 1조1000억원 각각 증가했다.
기타대출은 5000억원 증가하며 전월(-3000억원)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다. 신용대출이 전월 대비 증가(-1조2000억원→+1조2000억원)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4조8000억원 증가했다. 은행 자체 주담대가 1조9000억원, 정책성대출이 1조9000억원 각각 늘었다. 기타대출도 신용대출 영향 등으로 전월 대비 1조원 증가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5000억원 증가했다. 저축은행 4000억원, 상호금융은 2000억원, 보험은 1000억원 각각 가계대출이 늘었다. 여신전문금융회사는 1000억원 감소했지만 감소폭은 전월에 비해 크게 줄었다.
금융당국은 "지난 2~3월 증가한 주택거래 관련 대출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면서 4월 주담대 증가세 확대로 이어졌고,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한 기타대출 증가는 4월중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따른 자금수요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국 주택거래량은 올해 1월 3만8000건에서 2월 5만1000건, 3월 6만7000건으로 증가했다. 수도권 주택거래량도 1월 1만8000건에서 2월 2만4000건, 3월 3만6000건으로 늘었다.
금융당국은 "3월에 비해 4월 가계대출이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연간 가계대출 관리목표 등을 감안하면 현재까지는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 5월 가정의 달 자금 수요, 오는 7월 시행되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영향 등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금융당국은 "앞으로도 관계기관간 긴밀한 공조 아래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월별·분기별·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 강화, 금융회사의 선제적 자율관리 시행 유도 등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조치들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pjy@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