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관세 낮췄지만…美 기업들, 선적 재개 '불확실성'에 주저

등록 2025.05.13 13:54:16수정 2025.05.13 15:0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관세 인하 90일 유예 불과…재고 확보·출하 재개에 차질 우려

[로스앤젤레스=AP/뉴시스] 12일(현지 시간) A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발 관세 폭탄 이후 주문을 연기하거나 취소한 미국 기업들은 관세 인하 조치로 제품을 다시 선박에 실을 계획 중이지만, 병목 현상과 운임 비용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항구에서 컨테이너선이 선적 중인 모습. 2025.05.13.

[로스앤젤레스=AP/뉴시스] 12일(현지 시간) A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발 관세 폭탄 이후 주문을 연기하거나 취소한 미국 기업들은 관세 인하 조치로 제품을 다시 선박에 실을 계획 중이지만, 병목 현상과 운임 비용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항구에서 컨테이너선이 선적 중인 모습. 2025.05.13.


[서울=뉴시스]박미선 기자 = 미중 관세 완화 소식에 주식 시장과 달러 가치는 급등했지만, 미국 기업들은 여전히 정책의 불확실성을 우려하며 불안한 모습이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수입업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를 부담해야 하고, 이번 미중 무역협상이 90일간 적용되는 것인 만큼 향후 상황이 급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불확실성은 남아있기 때문이다.

12일(현지 시간) A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발 관세 폭탄 이후 주문을 연기하거나 취소한 미국 기업들은 관세 인하 조치로 제품을 다시 선적할 계획이지만, 병목 현상과 운임 비용 증가 등을 우려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가 연말 쇼핑 시즌에 대한 계획과 주문을 마무리하는 시점에 발표됐다. 업계엔 반가운 소식이지만, 이미 주문을 미루거나 취소했던 상황이라 다시 주문을 재개하려면 일정 차질이 우려된다.

WS 게임 컴퍼니 대표 조나단 실바는 "주문과 관련해 이보다 더 나쁜 타이밍이 있을 수 없었기 때문에 고객과 공장을 다시 가동하면 일정이 심각하게 뒤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 공장에 9개의 컨테이너가 대기 중이며 더 낮은 관세율로 수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미국과 중국은 서로에 부과한 고율의 상호 관세를 대폭 낮추는 데 합의했다. 이로써 미국은 중국에 대한 145%의 관세를 30%로 낮추고, 중국 역시 미국에 대한 125%의 관세를 10% 인하하기로 했다. 다만 이번 조치는 90일간 일시적으로 추진되고, 양측은 장기적 무역 협상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일리노이주 디어필드에 있는 에지 데스크 CEO 마크 로젠버그는 1000달러짜리 인체공학적 의자 라인을 개발하기 위해 수백만 달러를 투자했지만, 관세 유예를 기대하며 이달 시작될 예정이던 중국에서의 생산을 연기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진행 중인 것은 좋지만, 90일이라는 유예 기간에 대해 선적 지연으로 협정이 끝날 때까지도 의자가 도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위험이 너무 크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이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1년 또는 2년 동안 지속되는 계획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중국 수입품에 매기는 30%의 관세는 여전히 너무 높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오클라호마시티에 본사를 둔 반려견 보호자 등을 위한 차량 시트 커버 생산 회사를 운영하는 짐 움라우프는 일반 관세율이 낮아지더라도 소상공인들이 이익을 내기는 어렵다고 토로한다.

움라우프는 중국에서 원단, 코팅, 부품 등의 원자재를 수입하는데, 그는 "관세 문제에 진전이 있다는 점은 고맙게 생각하지만, 아직 실질적인 해결책과는 거리가 멀다"며 "관세가 50%를 넘어가면, 가격을 대폭 올리지 않는 이상 사실상 남는 게 없다"고 지적했다.

WS 게임 컴퍼니의 실바는 이번주부터 연말 시즌 주문을 시작할 예정이지만, 관세가 90일 이상 중단됐더라면 좀 더 과감하게 주문했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우리는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더라도 수요 충족에 필요한 만큼만 주문할 것"이라며 "장기적 합의라는 확실한 기반이 마련되지 않는 이상, 과감하게 나서기엔 여전히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nly@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