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정원 조성사업 시작…"내년 상반기 융합타운 완성"
경기정원 3만2700㎡ 규모… 여가·휴식 공간
친환경 RE100정원, 잔디광장·평화연못 등 구성

경기정원 조성사업 조감도(사진=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이병희 기자 = 경기융합타운 조성의 마지막 단계인 '경기정원 조성 사업'이 2026년 상반기 개방을 목표로 16일 시작된다.
경기융합타운은 경기도청 신청사를 중심으로, 도의회·도교육청·경기도서관·경기주택도시공사·경기신용보증재단·한국은행경기본부·이의119안전센터 등 8개 공공기관과 민간 주상복합건물이 입주하는 공공기관 복합개발 사업이다.
2022년 경기도의회·경기도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주요 기관이 입주를 마쳤으며, 2026년 상반기 경기정원을 끝으로 경기융합타운 사업이 완성된다.
모두 3만2700㎡ 규모의 경기정원은 도민의 여가와 휴식을 고려한 녹색 공간으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탄소저감과 기후대책을 고려해 사용되는 전력을 신재생에너지로 자체 생산하는 친환경적인 RE100정원이다. 잔디광장, 물놀이가 가능한 평화연못, 어린이놀이터, 맨발걷기 황토길 등 도민의 휴식과 건강을 고려한 시설물이 조성된다.
경기정원에는 광화문청사부터 경기도청의 행정사와 함께 해온 상징 나무인 '경기측백나무'가 이식된다. 경기측백나무는 경기도의 100년 역사를 상징하는 특별한 나무로, 1910년 서울 광화문 앞 의정부 터에 경기도청사가 건립될 때 심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967년 경기도청이 수원으로 이전한 후에도 서울 광화문 옛 청사 터에 홀로 남아 있던 측백나무는 2018년 서울시와 경기도의 협의로 경기도 이식이 결정됐고 현재는 수원 광교박물관 앞에 임시로 심어져 있다.
도는 경기도청사의 역사와 상징성을 널리 공유하고 후대에 잇기 위해 측백나무 주변에 '경기측백쉼터'를 별도로 조성할 계획이다.
천병문 경기도건설본부 건축시설과장은 "경기정원은 탄소흡수, 태양광발전, 열섬효과 저감 등 기후대책을 생각하고 다양한 문화 행사와 커뮤니티 활동이 이루어지는 도심 속 정원으로 조성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ambh@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