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코스피, 한달 반만에 2600대 재진입[마감시황]

등록 2025.05.12 16:37: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코스피 2607.33·코스닥 725.4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2577.27)보다 30.06포인트(1.17%) 상승한 2607.33에 마감한 12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22.52)보다 2.88포인트(0.4%) 오른 725.4,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00원)보다 2.4원 오른 1402.4원에 주간 거래를 마무리했다. 2025.05.12.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2577.27)보다 30.06포인트(1.17%) 상승한 2607.33에 마감한 12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22.52)보다 2.88포인트(0.4%) 오른 725.4,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00원)보다 2.4원 오른 1402.4원에 주간 거래를 마무리했다. 2025.05.12.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주동일 기자 =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함께 코스피가 29거래일만에 2600대에 재진입했다.

1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77.27)보다 30.06포인트(1.17%) 상승한 2607.33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16.67포인트(0.65%) 상승한 2593.94에 개장했다.

코스피가 2600대에 재진입한 건 지난 3월 27일 이후 29거래일만이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주말 사이 진행된 미중 무역 협상이 순조롭게 마무리됨에 따라 국내 증시도 양호한 흐름 보인 가운데, 관세 영향에 따른 업종별 차별화가 뚜렷했다"며 "반도체·증권·건설·운송·자동차는 강세를 보인 반면 제약·바이오·방산·우주·조선·음식료는 약세"라고 말했다.

이어 "5월 1~10일까지 수출액이 전년 대비 23.8% 감소했다"며 "대미 수출 급감(-30.4%)이 주요 원인이며, 10대 수출품목 중 반도체만 증가(+14.0%)했다"고 덧붙였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현지시각 12일 오전 9시 30~80% 수준의 약값 인하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을 예고했다"며 "이에 따라, 제약·바이오가 하락했고 트럼프 1기 당시에도 약값 인하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으나, 업계 반발로 정책이 시행되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이 나홀로 3906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반면 외국인은 1억원, 기관은 3429억원을 사들였다.

업종별로는 종이·목재(5.64%), 섬유·의류(2.13%), 비금속(2.01%), 건설(3.71%)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음식료(-1.92%), 제약(-3.69%), 운송장비(-1.72%) 등은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엇갈렸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800원(5.11%) 오른 5만7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SK하이닉스(2.58%), LG에너지솔루션(1.1%), 현대차(3.11%), 기아(3.47%), KB금융(0.22%) 등도 상승했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4.71%), 한화에어로스페이스(-6.61%), HD현대중공업(-2.06%), 셀트리온(-3.92%) 등은 하락세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22.52)보다 1.95포인트(0.27%) 오른 724.47에 거래를 시작했다. 이후 전 거래일 대비 2.88포인트(0.4%) 오른 725.4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시장에서 개인은 나홀로 728억원 어치를 팔아치웠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931억원, 49억원 어치를 사들였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도 엇갈렸다. 알테오젠(-2.61%), HLB(-1.56%), 휴젤(-4.06%), 클래시스(-8.78%), 파마리서치(-0.87%), 리가켐바이오(-1.92%) 등은 하락세를 보인 반면, 에코프로비엠(4.6%), 에코프로(1.17%), 레인보우로보틱스(0.74%), 펩트론(2.89%) 등은 상승세를 보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jdi@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