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 인근에 거주하면 '이 질환'에 걸릴 수 있다?

(사진=유토이미지) *재판매 및 DB 금지
8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의 한 연구에서 골프장 반경 1.6㎞내에 거주하는 사람은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이 최대 126%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골프장 유지 관리에 사용되는 농약이 주요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꼬집었다. 이 농약들이 대기 중으로 퍼지거나 수돗물을 오염시켜 인근 주민들이 장기간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가정에서 공급받는 물이 골프장 근처에서 나온 경우, 파킨슨병의 발병 위험이 2배에 달했다. 6000명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 분석 결과, 위험이 가장 큰 구간은 골프장에서 1.6~4.8㎞ 사이였다.
이번 연구는 미네소타와 위스콘신주에 거주하는 파킨슨병 환자 419명의 주소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들을 성별과 나이를 기준으로 건강한 대조군 5113명과 비교해 이뤄졌다.
연구 결과, 파킨슨병 환자들이 골프장 근처에 거주하거나 그 지역 수원을 사용하는 경우가 현저히 많았다. 연구팀은 과거 골프장에서 사용된 다양한 농약들이 파킨슨병과 연관돼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를 해석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파킨슨병협회(Parkinson's UK)의 연구 책임자 데이비드 덱스터 교수는 "파킨슨병은 진단되기 10~15년 전부터 뇌에서 진행된다"면서 "이번 연구는 장기간 거주자를 중심으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참가자가 이사 오기 전에 이미 병이 진행 중이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연구팀이 주장한 것과 달리, 실제 수돗물에서 농약 성분이 검출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사진=유토이미지) *재판매 및 DB 금지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요 증상으로는 떨림, 근육 경직, 움직임 저하 등이 있으며, 진행성 질환이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된다. 우울증이나 불안 등 정서적 문제도 함께 발생할 수 있다.
완치는 어렵지만, 증상 조절을 위한 치료법은 존재하고 환자에 따라 약물에 대한 반응은 다를 수 있다. 발병 위험은 나이가 들수록 높아지며, 대부분 50세 이후에 진단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pun9@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