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차세대 로봇 재활 시스템 제조 프로토콜 발표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신미경·전자전기공학과 손동희 교수 연구팀
주사형 전기전도성 보형물
신축성 자가치유 전극 통합

성균관대 신미경 교수(왼쪽 첫 번째), 손동희 교수(왼쪽 두 번째), 진수빈 석박사통합과정생(왼쪽 세 번째), 최희원 석박사통합과정생. (사진=성균관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는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신미경 교수 및 전자전기공학과 손동희 교수 연구팀에 의해 수행됐다.
기존 연구에서는 조직 재생용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불안정성과 낮은 전도성으로 인해 조직 간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나 생체전자 기기와의 효과적인 인터페이싱이 어려웠다. 또한 실제 기능 회복을 위한 신경·근육 조직의 능동적 재건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재활 분야에서는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한 폐루프(closed-loop)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그러나 조직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유연하고 자가치유 가능한 전극 소재의 부재로 인해 실시간 피드백 기반의 정밀한 로봇 재활 구현 역시 제한적이었다.

'폐루프 로봇 재활 시스템 구성요소' 개발을 위한 실험 절차 개략도. (사진=성균관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 프로토콜은 실제 근육 결손 동물 모델에 하이드로겔을 주입한 뒤 생체 신호를 감지한다.
또한 이에 따른 로봇 제어까지 이어지는 연속적인 실험 흐름을 포괄해 향후 다양한 생체전자 및 조직 재생 연구에 기술적 기반을 제공했다.
이러한 통합형 재활 시스템은 말초신경, 척수 등 다양한 전기 활성 조직의 재생 및 기능 회복 연구에도 적용 가능한 기반 기술로 확장될 수 있다.
신 교수는 "이번 프로토콜은 조직 손상에 따른 생체신호 변화를 해석하고 주사로 투여 가능한 하이드로겔을 이용해 기능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구체적 실험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 교수는 "신경, 심근, 척수 등 다양한 전기 활성 조직의 재생 및 인터페이싱 연구가 더 폭넓게 진행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ooo@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