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K-치안산업' 육성정책 논의…치안산업진흥 협의회 개최

등록 2025.05.22 14: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경찰청, 제4차 치안산업 진흥협의회 개최

첨단 치안기술 산업화·국제적 진출 전략 논의

"K-산업, 새로운 국가브랜드로…제도적 기반 조성"

[서울=뉴시스] 경찰청 전경.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경찰청 전경.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수정 기자 = 경찰청은 'K-치안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22일 오후 2시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제4차 치안산업진흥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 주재로 관련 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협의회는 경·학·연이 함께 K-치안산업 육성정책에 대해 논의하고 상호 교류할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산업 및 과학기술 분야 공공기관·학계·기업 소속 전문가를 위원으로 지난해 2월 구성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방위산업과의 연계, 신생기업 육성 등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박영욱 한국국방기술학회 이사장 등 12명을 신규위원으로 위촉했다.

또 2025년 치안산업진흥 시행계획을 바탕으로 첨단 치안기술 산업화·국제적 진출 전략 등을 중점 논의했다.

우선 국회에서 제정 검토 중인 치안산업진흥법 관련 속도감 있게 법률 제정을 추진한다. 경찰청은 법률 제정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켜나갈 수 있도록 그간의 성과를 홍보해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치안 분야 장비 등 제품의 품질을 향상해 나가기 위해서는 제품의 표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권총·전자충격기 등 위해성 경찰장비 9종의 표준을 올해 완성할 계획이다.

현장 경찰관들의 의견을 수렴해 표준 마련 대상 장비군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감과 동시에 호신용 제품 등 국민 안전과 밀접한 제품에 대해서도 표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관련 제품의 표준 준수 여부에 대한 시험·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센터(가칭 과학치안기술센터) 설립도 검토한다.

아울러 치안 분야 장비와 시스템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치안 장비를 도입하기에 앞서 수요제기부터 개발·성능시험·실증·도입까지 일련의 과정에 대한 체계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경찰청은 협의회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2025년 치안산업진흥 시행계획 등 치안산업 육성정책에 반영해 치안산업 진흥 협의회를 경·학·연 협업 우수사례로 만들어나간다는 방침이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K-방위산업에 이어 K-치안산업이 새로운 국가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치적·제도적 기반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rystal@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