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들, 생명안전기본법 채택해야"…참사 유가족 공동 촉구
참사 유족 "생명 안전, 구호 아닌 법·제도로 지켜져야"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위한 시민동행, 4.16연대 등 참가자들이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21대 대통령 후보들은 생명안전사회 건설 약속하라! - 생명존중, 안전사회를 위한 제21대 대선 공약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05.21. kmx1105@newsis.com](https://image.newsis.com/2025/05/21/NISI20250521_0020818756_web.jpg?rnd=20250521122806)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위한 시민동행, 4.16연대 등 참가자들이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21대 대통령 후보들은 생명안전사회 건설 약속하라! - 생명존중, 안전사회를 위한 제21대 대선 공약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05.21. kmx1105@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하 한이재 수습 기자 = 참사 유가족과 산재 피해자, 시민단체들이 21대 대선 후보들에게 안전 사회를 위한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10·29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와 4·16연대, 재난참사피해자연대 등 단체들은 21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명안전기본법 제정과 안전 체계의 구축을 통해 더는 참사가 반복되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각종 사회적 참사 피해자 가족과 노동시민단체 인사들이 참여해 생명안전기본법 제정과 안전사회에 대한 약속, 특별조사위원회 권고 이행과 노동자의 안전권 보장 등을 요구했다.
이정민 10·29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생명과 안전은 구호가 아닌 법과 제도로 지켜져야 한다"며 "생명안전기본법은 국민 모두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울타리"고 강조했다.
6·9 광주 학동 참사 유가족 황옥철씨, 가습기살균제 참사 피해자연대 조순미씨도 각각 발언에 나서 참사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황씨는 "참사 이후 지자체는 조례가 없다는 이유로 피해자 요청을 외면했고 유족들은 국가와 지자체에 애원해야 했다"며 "생명안전기본법은 피해자를 거리로 내몰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고 강조했다.
조씨도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단일 참사로는 전후 최대 인명 피해를 남겼지만, 아직도 진상규명과 책임 추궁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생명안전기본법은 예방 중심의 안전체계와 피해자 회복 지원, 책임 추궁을 위한 법적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KT 구조조정 과정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고(故) 정병수씨의 장인 김용덕씨, 이미선 민주노총 부위원장 등도 발언자로 나서 산업재해와 노동현장에서의 생명안전 보장을 요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reate@newsis.com, nowon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