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디지털 교육격차 완화 240개 프로그램 제공…특화과정도 운영
교육부, '디지털새싹' 사업 45개 기관 선정
![[대구=뉴시스] '디지털새싹' 사업에 참여하는 학생들. (사진=대구한의대학교 제공) 2024.10.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4/10/08/NISI20241008_0001671537_web.jpg?rnd=20241008154635)
[대구=뉴시스] '디지털새싹' 사업에 참여하는 학생들. (사진=대구한의대학교 제공) 2024.10.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지역과 여건에 따른 학생들의 디지털 교육격차를 완화하는 '디지털새싹' 사업에서 올해 240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2025년 디지털새싹 사업 방향 논의를 위한 협의회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의회는 17개 시도교육청 및 2025년 디지털새싹 사업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기관을 대상으로 올해 사업 추진방향을 공유하고, 교육청 등 현장의 수요와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디지털새싹은 전국 초·중·고등학생에게 양질의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을 제공해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을 함양하고 지역과 여건에 따른 디지털 교육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2022년부터 시작된 사업이다. 2024년에는 27만여 명의 초·중·고교 학생이 참여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디지털새싹 인재상과 역량을 도출해 그에 기반한 교육프로그램 제공 및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 기반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기관들이 공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총 45개의 사업 주관기관이 선정됐다.
2025년에는 240개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으로 모든 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높이기 위한 기본교육 수준의 모듈형 '기본과정'과 학생의 관심과 역량에 따른 '특화과정'을 운영한다. 본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및 학교(교사)는 디지털새싹 누리집에서 5월부터 상시 신청할 수 있다.
김현주 디지털교육기획관은 "그간 디지털새싹 사업은 다양한 방식으로 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높여주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라며 "앞으로도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해 지역과 여건에 따른 디지털 교육격차를 줄이고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nyon@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