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연구팀 "쑥에서 치매 예방 가능성 찾아"
식물생명공학과 이상현 교수 연구팀
쑥의 퇴행성 뇌질환 예방 효과 증명

중앙대 이상현 교수(왼쪽 첫 번째), 가천대 강기성 교수(왼쪽 두 번째), 농촌진흥청 이윤지 박사. (사진=중앙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12종의 쑥 추출물 중 일부가 글루타메이트(신경전달물질)로 유도된 신경세포 손상을 억제하고 뇌세포의 항산화 방어체계(Nrf2/HO-1)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과학적으로 규명했다.
연구팀은 실험용 신경세포주(HT22)에 글루타메이트를 처리해 인위적으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후 다양한 쑥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비교·분석했다.

넓은잎외잎쑥 사진(왼쪽), '루틴' 이미지. (사진=중앙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특히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통해 분석된 9종의 주요 생리활성물질 가운데 '루틴(Rutin)'이 가장 강력한 신경 보호 활성을 보였다.
'루틴'은 세포 내 항산화 방어체계(Nrf2/HO-1)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해 활성산소(ROS)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양의약에서 강조되는 대표적인 항산화 방어 메커니즘이다.
이 교수는 "쑥은 고대로부터 항염, 해열, 해독 등의 민간요법에 활용돼 왔지만, 이번 연구는 그 작용을 분자 수준에서 실험적으로 입증한 것"이라며 "향후 기능성 식품 또는 천연물 기반의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이 교수가 설립한 법인기업인 '한국천연물과학기술연구소(NIST)'의 연구 지원을 통해 수행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soooo@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