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야생 너구리 잇딴 출몰…서울시, 감염병 첫 정밀 검사

등록 2025.05.20 06:00:00수정 2025.05.20 08:00: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도심 공원 출몰 횟수 늘어…감염병 사전 관리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17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전경. 2023.07.17. kch0523@newsis.com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17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전경. 2023.07.17. kch0523@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전국 지자체 최초로 도심에 출몰하는 야생 너구리를 대상으로 질병 모니터링을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광견병, 렙토스피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인수공통감염병 10종과 파보바이러스, 디스템퍼바이러스, 개허피스바이러스 등 개과 동물 바이러스·세균성 질병 13종에 대해서 감염 여부를 검사한다.

서울의 자연 생태환경이 개선되면서 도심 내 야생 너구리와 사람·반려동물 간 조우가 증가함에 따라 인수공통감염병의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선제적으로 모니터링을 추진하게 됐다.

사울연구원 '서울 도심지 출몰 야생 너구리 실태조사 및 관리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면적의 약 32%가 너구리 서식 가능 지역이며, 25개 자치구 중 24개(96%)에서 너구리가 관찰됐다. 연간 너구리 구조 건수는 2022년 63건, 2023년 78건, 2024년 117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연구원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초까지 사전 조사를 실시했으며, 실제로 구조된 너구리와 채취된 진드기에서 인수공통감염병과 반려동물 관련 병원체를 확인해 시민과 반려동물의 건강 보호를 위한 감시체계의 필요성이 입증됐다.

모니터링은 연중 상시로 운영된다. 서울시 야생동물구조센터의 협조를 받아 서울 도심 공원, 주택가 등에서 구조된 너구리로부터 관련 시료를 채취해 진행된다.

시는 모니터링을 통해 야생너구리로 인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사람과 야생동물이 상호 공존하기 위해서는 야생동물에게 먹이주기 않기, 먼저 다가가지 않기, 자극 주지 않기 등의 '긍정적 거리두기'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박주성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이번 모니터링은 사람과 동물, 환경의 건강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원헬스(One Health) 개념에 기반한 능동적 대응으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역 및 보건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lje@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