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북도, 포항·구미·경주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지정 '총력'

등록 2025.05.16 14:53:2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안동=뉴시스] 16일 경북도청 화랑실에서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이 체결되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2025.05.1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뉴시스] 16일 경북도청 화랑실에서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이 체결되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2025.05.1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뉴시스] 류상현 기자 = 경북도가 구미, 포항, 경주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받고자 민관협력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북도는 16일 도청 화랑실에서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경북도와 포항, 구미, 경주 등 지자체, GS건설, HD현대인프라코어, AMOGY, GS구미열병합발전, 에이치에너지, 경북연구원 등 10개 기관이 참여했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전력 직거래가 이뤄지는 지역단위의 에너지 생산·소비 체제를 말한다.

특화지역 지정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접수가 완료된 가운데 전국 11개 광역시도가 25개 사업을 신청했다.

경북도는 포항(신산업활성화)과 구미(전력수요유치), 경주(신산업활성화) 지역을 신청했다.
 
포항은 영일만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청정 암모니아 기반의 수소엔진발전 실증으로 40㎿급의 무탄소 분산전원을 상용화해 청정전력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구미는 구미국가제1산업단지에 열병합발전 기반으로 저렴한 전력과 열을 공급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규기업 유치을 위한 유리한 조건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경주는 경북도의 핵심사업인 햇살에너지농사 사업과 연계한 통합발전소 구축으로 RE100(재생에너지 100%)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경북도는 종합계획 수립, 협력체계 구축, 특화지역 지원 등의 행정을 총괄한다.

포항시와 경주시, 구미시는 인허가, 규제특례, 기업지원 등 행정지원을 한다.

GS건설과 GS구미열병합발전, 에이치에너지 등 분산사업자는 무탄소 분산전원 보급, 신규기업 유치, 전력거래 비즈니스 모델 확산에 나선다.

경북연구원은 정부정책 분석, 사업기획 등의 지원을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실무위원회를 열어 특화지역 선정 평가를 마무리하고 에너지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상반기 중으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지정할 계획이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AI(인공지능), 반도체, 전기차 등 전력수요 급증이 전망되는 상황에서 기존의 중앙집중식 전력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다. 지산지소형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으로 청정전력 확보 및 기업의 경쟁력 강화, 첨단산업 유치를 이끌어 내 지역경제가 더 활성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pring@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