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힘 선대위 5·18학살책임 정호용 영입시도, 경악·유감"

등록 2025.05.15 12:29:01수정 2025.05.15 15:1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5·18단체 "피해자와 민주주의 정면도전"

[서울=뉴시스] 박태홍 기자 = 공수부대 계엄군이 1980년 5월 27일 새벽 전남도청 시민군 진압 작전을 마치고 도청 앞에 집결하고 있다. 박태홍 뉴시스 편집위원이 1980년 당시 한국일보 사진기자로 재직 중 5·18 광주 참상을 취재하며 기록한 사진을 5·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에 즈음해 최초로 공개한다. (사진=한국일보 제공) 2020.05.17. hipth@newsis.com

[서울=뉴시스] 박태홍 기자 = 공수부대 계엄군이 1980년 5월 27일 새벽 전남도청 시민군 진압 작전을 마치고 도청 앞에 집결하고 있다. 박태홍 뉴시스 편집위원이 1980년 당시 한국일보 사진기자로 재직 중 5·18 광주 참상을 취재하며 기록한 사진을 5·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에 즈음해 최초로 공개한다.  (사진=한국일보 제공) 2020.05.17.  hipth@newsis.com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5·18민주화운동 관련 단체들이 5·18 당시 광주시민 학살에 앞장선 계엄군의 지휘관 정호용 전 특전사령관을 선거대책위원회(선대위)에 영입하려 했던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 측을 규탄했다.

5·18 공법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와 5·18기념재단은 15일 성명에서 "학살 책임자 정 전 특전사령관을 영입하려 한 김 후보 선대위에 강한 유감"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김 후보 선대위가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 지휘 책임자인 정 전 특전사령관을 상임고문으로 임명했다가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서둘러 철회한 것은 실로 경악스러운 일"이고 밝혔다.

또 "정 전 특전사령관은 광주시민을 무력으로 진압한 5·18 책임자 중 한 사람"이라면서 "이러한 자를 고위 자문직에 임명하려 한 시도는 5·18의 역사와 희생자, 유가족에 대한 모욕이며 민주주의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비록 임명이 취소됐다 하더라도 이러한 시도 자체가 김 후보 선대위의 역사 인식 수준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라며 "국민적 분노 앞에 임명을 철회한 것이지 결코 진정한 반성과 사과에서 비롯된 결정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김 후보는 이번 영입 시도에 직접 사과하고 책임자를 문책하라"며 "향후 5·18을 부정하거나 왜곡한 인물이 정치권에 다시 발붙이지 못하도록 분명한 기준과 원칙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정 전 특전사령관은 1980년 5월18일부터 27일까지 이어진 5·18민주화운동 과정 도중 계엄군을 지휘, 광주시민을 학살하게한 총 책임자다.

특히 1980년 5월27일 계엄군의 광주재진입작전(상무충정작전)을 지휘하면서 시민군을 숨지게 한 혐의 등으로 기소돼 지난 1997년 내란목적살인 혐의로 처벌 받았다.

국가차원 진상규명에 나섰던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조사위) 조사 결과 5월27일 당시 숨진 광주시민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지난해 6월 같은 혐의로 또다시 고발되기도 했다.

조사위는 내란목적살인죄는 피해자별로 성립하는 실체적 경합범이므로 추가 고발과 기소가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leeyj2578@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