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역 GRDP 23%' 전남 철강산업 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건의"

등록 2025.05.14 17:07:50수정 2025.05.14 19:1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등 추진 상황 점검

추경 10억 원 투입, 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 나서

 *재판매 및 DB 금지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위기에 빠진 전남 철강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민관협의체가 본격 가동됐다.

전남도가 14일 광양 지식산업센터에서 철강산업 위기대응협의체 제2차 회의를 열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위한 대응 현황을 점검했다.

지난 4월 협의체 발족 이후 첫 본격 회의로, 전남도와 광양시, 순천시, 유관기관, 산업계 등 협의체 위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전남도는 이날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 상황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추진 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정부 건의와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민관 협력 체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전남 철강산업은 지역내총생산(GRDP)의 23.1%(2022년 기준), 국내 철강 총생산량의 34.4%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으로, 지역 수출의 17.9%(2024년 기준)를 맡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고율관세 부과와 글로벌 수요 둔화, 탈탄소 전환, 중국산 저가수입재 확대 등 복합적 위기 요인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 지정을 정부에 공식 건의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연구개발(R&D), 고용·판로, 투자 등 종합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남도는 선제대응을 위해 올해 첫 추경을 통해 10억 원 규모의 철강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을 나설 예정이다. 광양만권 소재 중소·중견 철강기업을 대상으로 공정개선, 시제품 제작, 맞춤형 컨설팅 등 지원책도 마련했다.

탄소감축 기술개발 지원과 철강 디지털전환 실증센터 구축 등 중장기적 산업경쟁력 기반 마련에도 속도를 내고 있고, 탄소국경세와 통상 관세 등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기업 건의사항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특히, 국가기간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을 차기 정부 대선 공약 과제에 포함시켜 정부 차원의 종합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원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소영호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이날 회의는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민관협력의 중요한 계기"라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특별법 제정 등 핵심 과제를 정부와 국회에 적극 건의하고, 지역 산업의 재도약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