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산소 대신 석탄 삼켰던 진폐재해자들, 대선 후보에 호소

등록 2025.05.14 15:53:27수정 2025.05.14 17:5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진폐검진 수당, 15년간 ‘0원 인상’… “단 10억이면 해결 가능”

탄광의 광부들이 작업늘 마친 뒤 방진마스크를 벗은 모습.(사진=전제훈 작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탄광의 광부들이 작업늘 마친 뒤 방진마스크를 벗은 모습.(사진=전제훈 작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태백·정선=뉴시스]홍춘봉 기자 = “우리는 산업화의 그림자 속에 갇힌 사람들입니다. 이제 정치가 대답할 차례입니다.”

국내 최대의 직업병 집단인 진폐재해자 단체들이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주요 정당 후보자들에게 진폐 현안 해결을 강력히 호소하고 나섰다.

광산진폐권익연대, 한국진폐재가환자협회, 대한진폐재해자보호협회, 전국진폐재해자협회, 중앙진폐재활협회, 영남진폐재해자협회 등 6개 진폐단체는 14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진폐정책 공약 채택’을 공개 건의했다.

진폐단체들이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지목한 것은 진폐 정밀검진 수당의 현실화 문제다. 현재 진폐 진단 수당은 1일 5만 원. 이는 지난 2010년 진폐법 개정 전 4박5일 기준 평균임금의 70%를 지급하던 당시보다 오히려 줄어든 액수다.

진폐법 개정 이후 검진 기간은 2박3일로 단축됐고, 진폐 고시임금이나 최저임금, 기초연금은 그간 수차례 인상됐지만, 진단 수당만은 15년째 단 1원도 오르지 않았다.

이들 진폐단체는 “진단수당 현실화 문제는 연간 약 4000명의 진폐환자에게만 적용되는 사안으로, 연 10억원의 예산만 확보하면 충분히 해결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진폐환자들은 대한민국 산업화의 상징과도 같은 광산에서, 마스크 하나 없이 ‘증산보국’의 구호 아래 먼지와 석탄을 들이마시며 일하다 병든 사람들이다. 그러나 진폐는 완치가 불가능한 불치병이며, 병든 몸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조차 벅찬 실정이다.

이들은 수년 전부터 국회와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에 문제 해결을 촉구해왔지만 아직까지 근본적인 개선은 요원한 상태다.

이에 진폐단체들은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개혁신당 등 주요 정당과 대선 후보에게 공개 건의서를 발송하고, 이달 28일까지 공약 채택 여부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다. 또한 각 당 강원도당을 직접 방문해 후보자들의 입장을 확인할 계획이다.

구세진 광산진폐권익연대 회장은 “산업화의 이면에서 폐를 갉아먹으며 일하다 병든 진폐재해자들이 제대로 된 치료와 보상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대선을 계기로 각 정당이 이 문제에 책임 있는 자세로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그는 이어 “이제는 정치가 응답할 차례다. 진폐재해자들은 더는 기다릴 수 없다”며 “성의 있는 정책 답변과 공약 채택을 기대하며, 회원들과 함께 그 답변을 바탕으로 지지 후보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asinohong@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