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4월 취업자 1년만에 최대↑…청년·건설·제조업 고용 한파 지속(2보)

등록 2025.05.14 08:31:2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통계청, 4월 고용동향 발표

고용률 63.2%…통계 작성 이래 최대

건설 12개월·제조 10개월 연속 감소

4월 청년 고용률 2021년 이후 최저

20대 쉬었음 인구 12개월 연속 증가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3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아트홀에서 열린 ‘2025 희망·행복·미래 취업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2025.04.30.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3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아트홀에서 열린 ‘2025 희망·행복·미래 취업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2025.04.30. kgb@newsis.com


[세종=뉴시스]임소현 박광온 기자 = 4월 취업자 수가 1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며 4개월 연속 10만명대 증가폭을 기록하고, 고용률이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수치상 호조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청년층 고용률이 4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청년들의 취업 고민은 깊어졌다. 제조업 취업자는 6년 3개월 만에 최대 감소하고 건설업 고용난이 지속되는 등 내수부진 여파도 지속됐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25년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88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만4000명(0.7%) 증가했다.

월간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마이너스(-5만2000명)를 기록했다가 올해 들어서는 1월(13만5000명)과 2월(13만6000명), 3월(19만3000명)에 이어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4월 증가폭(19만4000명)은 지난해 4월(26만1000명) 이후 12개월 만에 가장 컸다.

고용률은 63.2%로 전년 동월 대비 0.2%포인트(p)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9.9%로 전년 동월 대비 0.3%p 올랐다.

전체 고용률과 15~64세 고용률 모두 4월 기준으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하지만 산업별, 연령대별로는 고용시장의 명암이 뚜렷했다.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21만8000명, 7.3%),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11만3000명, 8.1%), 정보통신업(7만2000명, 6.6%) 등에서는 취업자 수가 크게 늘었다.

반면 건설업(-15만명, -7.2%), 농림어업(-13만4000명, -8.6%), 제조업(-12만4000명, -2.7%) 등에서는 취업자가 급감했다. 건설업은 12개월, 제조업은 10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농림어업 취업자 수 감소폭은 2015년 11월(-17만2000명) 이후 가장 컸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34만명), 30대(9만3000명)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다.

반면 20대(-17만9000명), 40대(-5만1000명), 50대(-1만4000명)에서는 취업자가 감소했다.

15~29세 고용률은 45.3%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p 떨어졌다. 4월 기준으로는 2021년(43.5%) 이후 최저치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서울 구로구 남구로역 인근 인력시장에서 건설 일용직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5.04.10. ks@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서울 구로구 남구로역 인근 인력시장에서 건설 일용직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5.04.10. ks@newsis.com


4월 실업자 수는 85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만1000명(3.4%) 감소했다.

실업률은 2.9%로 지난해보다 0.1%p 낮아졌다.

또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3%로 전년 동월 대비 0.5%p 상승했다. 2022년 4월(7.4%) 이후 최고치지만 4월 기준으로는 역대 네 번째 낮은 수준이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특별한 이유 없이 일을 하지 않은 '쉬었음'은 243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만5000명(1.9%) 증가했다.

특히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41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5000명(1.9%) 늘었고 이 중 20대 '쉬었음' 인구는 39만2000명으로 지난해보다 3만5000명(9.7%)나 증가했다.

청년층과 20대 '쉬었음' 인구는 12개월 연속 증가했다. 2019년 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26개월 연속 증가한 이후 최장 기간 이어지며 청년층의 고용난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14일 서울시내 대학에 구직제도 등 안내배너가 설치되어 있다. 2025.04.14.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14일 서울시내 대학에 구직제도 등 안내배너가 설치되어 있다. 2025.04.14. jhope@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shlim@newsis.com, lighton@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