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충북 장애인 고용률 3.18%…법정 의무치 미달 여전

등록 2025.05.11 09:00:00수정 2025.05.11 09:1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공공부문 고용률 3.51%…45곳 중 17곳만 충족

민간, 역대 최소 격차…장애인 지원사업 영향

충북 장애인 고용률 3.18%…법정 의무치 미달 여전


[청주=뉴시스] 서주영 기자 = 지난해 충북 지역 장애인 고용률이 늘었지만 법정 기준치에는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정 의무고용률 미충족은 민간보다 공공부문에서 두드러졌다.

11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충북지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장애인 의무고용대상 1089곳의 평균 장애인 고용률은 3.18%(7183명)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0.06%(378명) 증가한 수치다.

공공부문인 국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45곳의 평균 장애인고용률은 3.51%로 법정 의무고용률(3.8%)를 달성하지 못했다. 의무고용률을 충족한 곳은 17곳에 불과했다.

이 중 비공무원 장애인 고용률은 4.7%, 공무원은 2.5%인 것으로 조사됐다.

교원·군무원 등 특정직 공무원의 비중이 큰 기관과 인구가 적은 군 단위 지자체의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민간기업(상시근로자 50명 이상의 사업체) 1044곳의 장애인 고용률은 2022년 2.83%, 2023년 2.93%, 지난해 3.07%로 해마다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민간 의무고용률(3.1%)에 미치진 못하고 있다. 이 중 의무치를 상회한 기업은 286곳이다. 

다만 지난해의 경우 1991년 의무고용제도 시행 이후 최소 수준(0.03%)의 격차를 보였다. 정부의 장애인 일자리 사업 지원과 코로나19 이후 상승세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공단 관계자는 "공공부문이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연계고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하겠다"며 "장애인 고용 컨설팅 제공,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규제 완화 등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도 계속해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yeong@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