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SUV 넘어 세단까지"…기아, 전기차 판 바꾼다[2025 기아 EV 데이①]

등록 2025.02.27 17:00:00수정 2025.02.27 19:5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기아, EV데이서 새로운 전동화 전략 공개

준중형 전동화 세단 'EV4' 신모델 선보여

실용성과 디자인, 가격 경쟁력 갖춘 모델

전기차 라인업 SUV 중심서 세단으로 확장

기아 '전기차 대중화 원년' 전략 내세워

[서울=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에 나온 기아의 전동화 전략 모델들 모습. (사진=기아 제공) 2025.02.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에 나온 기아의 전동화 전략 모델들 모습. (사진=기아 제공) 2025.02.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유희석 기자 = 기아가 스포츠실용차(SUV) 중심의 전기차 시장 흐름에서 벗어나 세단까지 라인업을 확장하며 새로운 전동화 전략에 나서고 있다. 특히 디자인과 성능은 물론 가격 경쟁력까지 갖춘 전기차 모델을 선보이며 캐즘(일시적 수요 침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장 판도를 뒤바꾸겠다는 야심이다.

EV4·PV5·EV2 등 신모델 대거 공개

기아는 24일(현지 시간)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 데이' 행사를 통해 준중형 전동화 세단 'EV4'와 함께 맞춤형 모빌리티(PBV) 모델 'PV5', 해외 전략형 소형 SUV 콘셉트 'EV2'를 공개했다. 

기아는 이번 행사의 주제를 '전동화 시장의 흐름 전환(Turn the Tide)'으로 삼고, 다양한 전기차 모델과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을 선보이며 전기차 대중화를 위한 전략 변화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특히 EV4를 통해 SUV 중심의 전기차 시장을 세단으로 확장하며 새로운 시장 개척을 노리고 있다.

EV4는 기아가 처음으로 출시하는 준중형(C 세그먼트) 전기 세단으로, 현대차그룹 전기차 중 가장 긴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 가능 거리(533㎞)를 기록했다.

기아는 EV4가 실용성과 디자인, 가격 경쟁력 3박자를 갖춘 모델로 SUV 위주였던 전기차 시장에서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에서 송호성 기아 사장이 전동화 전략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기아 제공) 2025.02.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에서 송호성 기아 사장이 전동화 전략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기아 제공) 2025.02.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전기차 대중화 원년 선언

기아는 전동화 전략의 핵심 목표로 '전기차 대중화'를 꼽았다. 이를 위해 EV4를 비롯한 전기차 라인업의 가격대를 최적화하고, 다양한 차급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커지는 상황에서, 기아는 합리적인 가격과 뛰어난 성능을 바탕으로 전기차 시장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배달과 화물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첫 PBV 모델인 PV5도 기아 전동화 전략의 핵심 중 하나다. PV5는 PBV 전용 플랫폼(E-GMP.S)을 적용한 최초 모델로, 국내에서는 오는 4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서울모빌리티쇼를 통해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EV4, PV5와 함께 기아는 해외 전략형 소형 SUV인 콘셉트 EV2도 선보였다. EV2는 도심 운전에 최적화된 소형(B 세그먼트) 전기 SUV로, 내년 유럽 시장에 양산형 모델이 출시된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기아는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업체로서 고객 관점에서 개발한 제품과 경험을 제공하며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PBV 시장을 선도하며 고객 최우선 가치에 기반한 맞춤형 모빌리티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eesuk@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