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법무에도 'AI 시스템' 도입…송무 처리 시간 50% 이상 절감
법무 시스템 보유 데이터 10만여건 AI 학습
법률 자문 업무도 소요 시간 30% 이상 줄어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KT는 자사 법무 시스템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본격 도입하는 등 준법경영을 강화한다고 21일 밝혔다.
KT는 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AICT) 가속화 일환으로 송무, 법률 자문 업무 등에 활용되는 법무 시스템에 그동안 보유하고 있던 약 10만여건에 달하는 사업 관련 소송과 계약, 자문 데이터를 AI에 학습시켰다.
송무 시스템은 빅데이터 구축과 소송 행정업무 자동화에 주안점을 두고, 소장과 준비서면, 판결문 등 방대한 관련 문서를 데이터 베이스로 만들어 법무 전체 분야 통합 검색, 유형별 분석 기능 등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졌다.
또 대법원 사건검색 자동 연동을 통한 소속 기록 정보와 기일 캘린더 동기화, 심급별 혹은 연관 사건의 일괄 관리 기능을 구현한 게 특징이다.
법률 자문 분야에서는 핵심 업무인 계약서 검토와 법률 자문 과정에서 유사 사례를 자동 추천하고, AI 기반 자문 초안 작성과 계약서간 비교 기능을 갖췄다. 계약서 내용을 요약하거나 조항별로 분류하는 기능도 포함이다.
KT는 복잡하고 다양한 법률 문서를 AI가 사전에 분류하고 분석해 인적 오류를 최소화하고, 법적 리스크를 적기에 식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보고 있다. AI 법률 리서치와 선행 사례 탐색을 수행하면서 변호사나 법무 담당자는 전략 수립이나 의사 결정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실제로 새로 도입된 AI 법무시스템 활용 결과 수작업이 대폭 줄어 50% 이상 처리시간 절감 효과가 있었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법률 자문 업무도 유사 자문 자동 추천, 계약서 사전 검토 등 덕분에 소요 시간이 3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향후 계약서 사전 체크리스트 기능을 추가하는 등 보다 진화한 법무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ilverlin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