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진-젠슨 황 회동…네이버, 태국어 LLM·관광용 AI 에이전트 개발 시동
대만서 엔비디아 클라우드 파트너 행사 참석
태국 '시암 AI'와 태국어 LLM·AI 에이전트 개발 '맞손'
![[서울=뉴시스]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제이 퓨리 엔비디아 총괄 부사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지난 22일 대만 엔비디아 오피스에서 별도 미팅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05.23. (사진=네이버 제공)](https://image.newsis.com/2025/05/23/NISI20250523_0001850043_web.jpg?rnd=20250523092456)
[서울=뉴시스]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제이 퓨리 엔비디아 총괄 부사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지난 22일 대만 엔비디아 오피스에서 별도 미팅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5.05.23. (사진=네이버 제공)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과 팀네이버 경영진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동남아 소버린 인공지능(AI) 사업 확대를 논의했다. 엔비디아가 마련한 행사에서 태국 AI·클라우드 플랫폼 기업과 손잡고 태국어 기반 거대언어모델(LLM)과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 협약도 체결했다.
네이버는 이 의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이 대만에서 진행 중인 엔비디아 클라우드 파트너 행사 'NCP 서밋'에 국내 유일 파트너사로 참석했다며 23일 이같이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해부터 엔비디아와 소버린 인공지능(AI) 구축 공감대를 바탕으로 실제 사업 모델 구체화 방안을 논의해 왔다. 네이버클라우드가 이날 태국 기업 '시암 AI 클라우드'와 태국어 기반 거대언어모델(LLM)과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것도 이 결실 중 하나다.
양사는 각각 보유한 LLM 구축과 운영 경험과 방대한 태국어 데이터,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를 기반으로 올해 말까지 실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태국어 특화 LLM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태국 내 수요가 높은 관광 특화 AI 에이전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후 다양한 사이즈의 모델 라인업을 확보해 이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공공 서비스, 학술 분야 등 AI가 필요한 다양한 산업으로 사업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 과정에서 자사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적극적으로 공유함으로써 태국이 독자적으로 AI 모델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서울=뉴시스] 네이버클라우드가 '시암 AI 클라우드'와 태국어 기반 LLM 및 관광 특화 AI 에이전트 구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라따나폰 웡나파찬트 시암 AI 클라우드 대표, 레이몬드 테 엔비디아 APAC 총괄 대표, 회이 데이비스 엔비디아 APAC NCP 총괄. 2025.05.23. (사진=네이버 제공)](https://image.newsis.com/2025/05/23/NISI20250523_0001850048_web.jpg?rnd=20250523092555)
[서울=뉴시스] 네이버클라우드가 '시암 AI 클라우드'와 태국어 기반 LLM 및 관광 특화 AI 에이전트 구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라따나폰 웡나파찬트 시암 AI 클라우드 대표, 레이몬드 테 엔비디아 APAC 총괄 대표, 회이 데이비스 엔비디아 APAC NCP 총괄. 2025.05.23. (사진=네이버 제공)
협약식에는 이 의장, 최 대표도 함께 참석해 향후 동남아 소버린 AI 사업 확대, 글로벌 시장 진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유원 대표는 "이번 협력은 단순히 LLM 구축을 넘어 태국이 자국 내에서 AI 모델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술력과 통제권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독자적으로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국가들에게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시암 AI처럼 LLM,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등 현지에서 소버린 AI 구축이 가능한 파트너들과 협력해 동남아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라며 "네이버클라우드는 AI 서비스·데이터·AI 백본·슈퍼컴퓨팅 인프라·클라우드·데이터센터까지 AI 밸류체인 전 영역에 걸친 역량을 갖추고 있어 소버린 AI를 필요로 하는 국가와 기업들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팀네이버 경영진은 대만 최대 이동통신사인 중화텔레콤 등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미팅을 통해 동남아, 글로벌 시장 확대 가능성을 논의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lpaca@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