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76m 위 비행기에서 떨어진 아이폰 멀쩡한 이유
비행기 모드에 화면에는 알래스카 항공 관련 이메일
동체 구멍 사고 발생한 보잉기서 떨어진 아이폰 추정
							
					![[서울=뉴시스] 8일(현지시간) 더 버지 등은 미 워싱턴주 북서부에 사는 남성 쇼너선 베이츠는 전날 엑스(전 트위터)에 "길가에서 아이폰을 발견했다. 배터리가 반밖에 없는 상태에서 비행기 모드를 하고 있었다"는 글과 함께 아이폰 사진을 게시했다. (사진=쇼너선 베이츠 엑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4/01/09/NISI20240109_0001455424_web.jpg?rnd=20240109144241)
[서울=뉴시스] 8일(현지시간) 더 버지 등은 미 워싱턴주 북서부에 사는 남성 쇼너선 베이츠는 전날 엑스(전 트위터)에 "길가에서 아이폰을 발견했다. 배터리가 반밖에 없는 상태에서 비행기 모드를 하고 있었다"는 글과 함께 아이폰 사진을 게시했다. (사진=쇼너선 베이츠 엑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1만6000피트(약 4876m) 상공에서 떨어졌는데도 금 간 곳 하나 없이 멀쩡히 작동되는 아이폰이 미국에서 등장해 화제다. 이 아이폰은 최근 미국에서 동체 구멍으로 비상 착륙한 보잉 737 맥스 여객기에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되면서 어떻게 작동할 수 있었는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8일(현지시간) 더 버지 등은 미 워싱턴주 북서부에 사는 남성 쇼너선 베이츠는 전날 엑스(전 트위터)에 "길가에서 아이폰을 발견했다. 배터리가 반밖에 없는 상태에서 비행기 모드를 하고 있었다"는 글과 함께 아이폰 사진을 게시했다.
베이츠가 찍은 아이폰은 물방울이 맺힌 가운데 화면에는 이메일로 전송된 비행기 수화물 영수증이 떠 있었다. '알래스카항공 수화물 영수증'이라는 제목의 글에는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캘리포니아주 온타리오로 가는 비행기 수화물 비용으로 4일 70달러가 결제됐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미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는 이 아이폰에 대해 지난 5일 비행 중 동체 구멍 발생으로 비상 착륙한 알래스카항공 1282편 보잉737 맥스9 여객기에서 추락한 것으로 추정되는 휴대전화 중 하나로 추정했다며 알래스카 항공에 인계했다고 밝혔다.
이 여객기는 오리건주 포틀랜드 국제공항에서 승객 174명과 승무원 6명을 태우고 이륙한 뒤 1만6000피트 상공을 날던 중 창문이 깨지고 동체 일부가 뜯겨 나가는 등의 사고를 냈다. 사망자, 중상자 없이 비상 착륙에 성공했지만 이 항공기의 뚫린 구멍을 통해 휴대전화 등 물품들이 분실됐다.
제니퍼 호멘디 NTSB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멀쩡히 살아남은 아이폰 등 휴대전화 2대를 회수했다며 주인에게 돌려줄 것이라고 밝혔다. 수천 미터에 달하는 상공에서 떨어진 아이폰이 어떻게 작동될 수 있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매체는 2011년 아이폰4 1000피트(약 304m) 상공에서 떨어졌는데도 작동됐던 사례를 인용해 일정 이상 높이부터는 아이폰이 받게 되는 충격이 같을 것이라고 추정 보도했다.
물체가 높은 곳에서 떨어지면 중력에 점점 가속되지만 어느 속도에 도달하면 더 이상 가속되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낙하할 때의 속도인 종단 속도에 이르게 된다. 이때 아이폰이 받을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부드러운 수풀 등에 떨어진다면 아이폰이 고장 나지 않을 확률이 생긴다는 주장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alpaca@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