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장관 "북한인권특사 적임자 인선 절차 밟고있다"
하원 외교위서 한국계 영 김 의원에 답변
"법률 대로 관련 인사 임명 의지 있다"
![[워싱턴=AP/뉴시스]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21일(현지 시간) 미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5.22.](https://image.newsis.com/2025/05/22/NISI20250522_0000357133_web.jpg?rnd=20250522032040)
[워싱턴=AP/뉴시스]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21일(현지 시간) 미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5.22.
루비오 장관은 이날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한국계 영 김 의원이 북한인권특사 임명 계획이 있느냐고 질의하자 "그렇다"고 답했다.
루비오 장관은 "분명 대통령 인사국에서 임명 절차를 위한 과정을 밟고 있다. 적임자를 찾고 자격 검증이 완료되도록 나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선적으로 상원 인준이 필요한 차관보들과 다른 직책들의 임명을 우선시해왔다"면서 "더 많은 공직자들이 이곳에 모습을 드러내길 원하는 것을 이해하지만, 먼저 상원 인준을 받아야 한다. 이제 막 조금씩 진전을 이루기 시작했다"고 부연했다.
또한 "이번주 안에 상원 인준이 필요한 직책 몇곳을 더 채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우리도 계속 절차를 진행 중이다"며 "그러나 분명한 것은 법률이 요구하는 대로 관련 인사를 임명할 의지가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인권특사는 지난 2004년 발효된 북한인권법을 토대로 만들어진 자리로, 미국의 북한 인권 관련 정책 전반에 관여한다. 대사급 직책으로 상원 인준이 필요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1기 내내 북한인권특사직을 공석으로 뒀고, 조 바이든 전 대통령도 3년차인 2023년 10월 줄리 터너 전 특사를 임명했다. 올해 1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터너 전 특사가 면직되면서 다시 공석이 됐다.
이에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북한인권특사를 내내 공석으로 두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데, 루비오 장관은 관련 인선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김 의원은 "루비오 장관은 상원에 있을때 북한인권특별법 재승인 법안의 상원 대표 발의자였고, 저는 하원에서 이 법안의 발의자였다"며 "이 중요한 법안은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ympathy@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