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조세이탄광 유해 수습 첫 실질 검토…전문가 의견 청취 착수
조사 시 안전 확보가 핵심…"가능한 빠르게 판단"
![[서울=뉴시스] 일본 혼슈 서부 야마구치(山口)현 우베(宇部)시의 해저탄광 '조세이(長生)탄광'에서 지난 2024년 10월 29~30일 일본의 한 시민단체가 민간 잠수조사를 하는 모습. (사진=일본 시민단체 '조세이탄광수몰사고(水非常)를역사에새기는모임' 제공). 2024.11.05.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4/11/05/NISI20241105_0001695405_web.jpg?rnd=20241105170655)
[서울=뉴시스] 일본 혼슈 서부 야마구치(山口)현 우베(宇部)시의 해저탄광 '조세이(長生)탄광'에서 지난 2024년 10월 29~30일 일본의 한 시민단체가 민간 잠수조사를 하는 모습. (사진=일본 시민단체 '조세이탄광수몰사고(水非常)를역사에새기는모임' 제공). 2024.11.05.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임철휘 기자 =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130여명이 수몰된 조세이(長生) 탄광 수몰 사고와 관련해 유해 수습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전문가 의견 청취에 착수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2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현재 잠수, 광산, 토목 구조물 등 세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수렴 중이며 이를 토대로 현장 조사 실시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전문적 견해를 바탕으로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밝혀왔지만, 실제 절차에 들어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가능한 한 빠르게 판단하고 싶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 20일 도쿄에서 열린 시민단체 '조세이탄광수몰사고를역사에새기는모임(이하 모임)'과 후생노동성 간 면담에서 처음 공개됐다.
문제가 된 갱도는 해저의 폐쇄된 공간으로, 조사 시 안전 확보가 핵심 쟁점이다.
갱도는 목재 구조로 이뤄져 있으며, 모임이 지난해 9월 발굴한 갱도 입구는 외부 공기에 노출된 상태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갱도의 노후화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전문가들도 갱도의 노후화 가능성에 대해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모임은 지난해 10월부터 세 차례 잠수 조사를 진행했지만 아직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다.
오는 6월18일부터 이틀간 추가 조사가 예정돼 있으며, 비용은 크라우드펀딩 등으로 충당하고 있다.
이노우에 요코 모임 공동대표 "이제는 한계에 가까워졌다"며 "정부가 자금과 기술 면에서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호소했다.
일본 정부는 그간 현장에 유해가 남아 있는지 불확실하고 조사에 위험이 따른다는 이유로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그러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지난달 7일 참의원 결산위원회에서 "정부가 위험을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모든 책임을 민간에 떠넘길 수는 없다"며 전향적인 자세를 내비친 바 있다.
한편 조세이 탄광에서는 1942년 2월3일 해저 갱도 수몰 사고로 183명이 숨졌다. 이 가운데 약 70%인 136명이 조선인 노동자였다.
사고 이후 지금까지 희생자 수습이나 공식적인 진상 규명은 이뤄지지 않았다.
조세이 탄광은 당시 일본 내에서도 위험성이 높은 해저 탄광으로 악명이 높았으며, 조선인 노동자 비율이 특히 높아 현지에서는 '조선 탄광'으로도 불렸다고 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f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