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미국 생산 확대…노사 변수 잘 넘을까[트럼프 車 관세 위협②]

등록 2025.02.19 13:31:00수정 2025.02.19 16:04: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현대차·기아, 미국 생산 늘려 대응

연산 120만대 체제로 대응력 충분

미국 생산 확대 시 노조 반발 변수

노조 반대에 적기 대응 어려울 수도

[서울=뉴시스]현대차그룹이 작년 10월 미국 조지아주에 준공한 친환경차 전용 공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사진=현대차그룹 미국법인) 2025.1.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현대차그룹이 작년 10월 미국 조지아주에 준공한 친환경차 전용 공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사진=현대차그룹 미국법인) 2025.1.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창훈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자동차에 관세를 매기면, 현대차·기아는 미국 내 생산 거점을 활용해 미국 현지 생산을 확대해야 한다. 연간 120만대에 달하는 미국 생산 체제를 최대한 활용해 관세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문제는 현대차·기아가 미국 현지 생산 확대를 추진하면, 이들 회사 노동조합이 거세게 반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생산 확대를 위해 노조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노조 반대가 극심할 경우 적기에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지 못할 수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면, 현대차·기아는 미국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해 대응할 전망이다.

현대차·기아가 올해 미국 조지아주에 있는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본격 가동하면 연간 120만대의 생산 체제를 확보할 수 있다.

기존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연간 생산량 36만대), 기아 조지아 공장(연간 생산량 34만대) 등과 함께 연간 생산량 50만대의 HMGMA를 추가 가동하는 것이다.

현대차·기아의 지난해 미국 시장 판매량은 171만대로, 120만대 생산 체제를 최대한 활용해도 연간 50만대 정도의 물량이 부족할 수 있다.

다만 현대차그룹이 미국 완성차 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와 포괄적 협력에 나선 만큼, GM의 미국 공장을 활용해 부족한 물량을 채울 가능성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자동차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대차·기아에만 피해가 몰린다고 보긴 어렵다"며 "미국에서 연간 120만대의 생산 규모를 갖췄고 GM과 협력까지 감안하면 대응 역량은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현대차‧기아는 미국에 연간 120만대 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서울=뉴시스] 현대차‧기아는 미국에 연간 120만대 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미국 생산 확대 놓고 노사 진통 우려

현대차·기아가 미국 현지 생산 확대에 나서면, 이에 대한 노조 반발이 거셀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국내에서 생산하는 모델을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 노사 협의를 거쳐야 한다.

그동안 현대차·기아 노조는 미국 생산 확대에 대해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특히 최근 국내 판매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현대차·기아 노조가 미국 생산 확대에 강하게 반대할 가능성이 있다. 국내 판매 감소 와중에 미국 내 인기 모델 생산량마저 줄어들면, 그만큼 수당과 성과급 등이 감소하게 된다.

실제 현대차·기아는 미국에서 인기를 끄는 모델에 한해 미국 현지 생산을 추진했다가 노조 반발에 철회한 전례가 있다.

현대차의 경우 2021년 대형 스포츠실용차(SUV) 팰리세이드의 미국 생산을 검토했는데, 노조의 반대로 국내 생산을 늘리는 쪽을 택했다.

기아 노조는 지난해 임금·단체협상(임단협)에서 기아의 대형 전기 SUV EV9의 미국 생산 추진에 반발하며 시위에 나섰다.

업계 관계자는 "다른 국가의 완성차 업체들과 달리 현대차·기아는 미국 생산 확대를 두고 노조와 협의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노조 반발이 거셀 경우 적기에 미국 생산을 늘리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un88@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