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美 반도체 관세, 현실화 가능성 낮다"…이유는?

등록 2025.02.12 11:45:17수정 2025.02.12 13:24: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韓 반도체, 미국 의존도 증가세

미국 관세 부과시 매출 타격 더 클 듯

그러나 마이크론·인텔도 대부분 해외공장

미국 관세 부과시 피해가기 힘들어

빅테크 사업에도 韓 반도체 필요 '절대적'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2.12.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2.12.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실제 관세 부과 여부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최근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매출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 경쟁력을 잃게 돼 미국 내 수요도 감소할 수 있다.

미국 정부가 현지 반도체 공장에 대해 반도체 보조금을 줄 지 여부도 불확실한 상태에서 관세 부과까지 단행될 경우 한국 반도체 기업들에게는 최악의 상황이 될 수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4주간 매주 (관세 관련) 회의를 할 것"이라며 "철강과 알루미늄 뿐 아니라 반도체와 자동차 등에 대해 들여다 볼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 정부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는데 반도체에도 관세 부과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실제 미국의 반도체 관세가 현실화하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최근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매출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어 타격은 더 클 수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의 대미 수출액은 106억8000만 달러(15조5300억원)로 전체 품목 중 2위를 차지했다.

기업별로는 SK하이닉스는 2023년 3분기 누적 미국 매출액은 9조7357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누적) 27조3058억원으로 3배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전체 매출액 중 미국 매출액 비중은 45.4%에서 13.4%포인트 증가한 58.8%에 달한다.

삼성전자의 같은 기간 미주 매출액도 68조2784억원에서 84조6771억원으로 24% 증가했다. 이 매출액에는 가전이 포함함돼 있지만 반도체가 매출 성장을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기업은 반도체 대부분을 중국과 한국 등에서 제조하는 만큼 미국의 반도체 관세로 인해 가격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 특히 미국에서 데이터센터 등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증가로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같은 고부가 제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관세로 반도체 가격이 높아지면 AI 기업들의 반도체 수요가 떨어질 수 있다.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 비중을 늘리거나 첨단 반도체를 미국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수 있지만 미국 정부가 반도체 보조금을 지급할 지 여부도 불투명해 섣불리 미국 공장 건설을 추진하기 어렵다.

반면 반도체 관세 부과의 현실화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마이크론과 인텔 같은 미국 공장들은 대부분 대만, 일본, 이스라엘 등 해외에 공장을 두고 있어 관세 부과를 피해가 갈 수 없다. 또 미국의 빅테크들도 반도체 가격 상승의 여파를 심각하게 겪을 수 있다. 한국이나 대만 반도체 기업 외에는 아예 다른 대안을 찾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온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미국은 관세 자체보다는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 대중 수출 제한을 유도하는데 더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은 한국 반도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특정 첨단 반도체에 대해선 여전히 관세 예외 조치를 시행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하고 있는 반도체 공장. (사진 = 삼성전자) 2024.07.2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하고 있는 반도체 공장. (사진 = 삼성전자) 2024.07.2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leejy5223@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