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딥페이크 퇴치 법안' 승인…샌즈랩 등 수혜주 관심
리벤지 포르노·딥페이크 범죄 대응 법안 서명
민주·국힘 딥페이크 처벌 강화 공약 제시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 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멜라니아 여사와 함께 복수 포르노 금지법인 '테이크 잇 다운' 법안(Take it Down Act)에 서명한 후 펜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이 법안은 인공지능(AI) 기반의 '딥페이크' 이미지까지 포함해 온라인에서의 사생활 침해에 강력히 대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25.05.20.](https://image.newsis.com/2025/05/20/NISI20250520_0000352582_web.jpg?rnd=20250520083618)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 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멜라니아 여사와 함께 복수 포르노 금지법인 '테이크 잇 다운' 법안(Take it Down Act)에 서명한 후 펜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이 법안은 인공지능(AI) 기반의 '딥페이크' 이미지까지 포함해 온라인에서의 사생활 침해에 강력히 대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25.05.20.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9일(현지 시간) '리벤지 포르노(헤어진 연인에 대한 복수심으로 성적 사진과 영상 등을 온라인에 유포하는 행위)'와 '딥페이크(AI 이용 합성 사진) 음란물' 피해자들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테이크 잇 다운 법(Take it Down Act)'으로 불리는 법안 서명식에 참석해 "이 법은 당사자의 동의 없이 게시된 노골적이고 허구적인 이미지의 유포, 끔찍한 사진 촬영, 심지어 동의 없이 게시한 사진을 조작하는 행위를 근절하는 최초의 연방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테이크 잇 다운 법'은 AI로 제작된 딥페이크 영상이나 사진을 포함해 성적인 이미지를 상대 동의 없이 공개하거나 위협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한다. 기술 플랫폼들이 해당 콘텐츠를 48시간 이내에 삭제하도록 요구한다.
영상 합성, 얼굴 변조 등 AI 생성 기술이 빠르게 고도화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역시 관련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앞서 여성 공약으로 딥페이크 영상 등 디지털 성범죄를 집중 모니터링하고, AI 등 첨단 기술을 악용한 성범죄와 명예훼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역시 딥페이크 범죄 예방을 위해 관련법을 정비해 처벌과 사전 탐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수혜 기대를 받고 있다. 딥페이크 관련주로는 샌즈랩을 포함해 모니터랩, 크라우드웍스 등이 거론된다.
실제 샌즈랩은 지난 16일 생성형 AI 딥페이크 이미지와 영상 탐지가 가능한 '페이크체크' 2.0를 선보였다. 페이크체크는 사용자가 직접 사이트에 접속해 딥페이크가 의심되는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인공지능(AI)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 초 내로 위조 진위 여부를 판별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다. 국민 누구나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회원가입, 인증 등 번거로운 절차없이 PC나 모바일로 접속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회사 측은 웹 상의 실제 정상 이미지 100장과 GPT-4o를 통해 생성한 딥페이크 이미지 200장을 대상으로 한 자체 테스트에서 99.33%의 정확도를 달성해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샌즈랩 측은 기술적인 개발은 이미 마쳤으나 대국민 무료 서비스 개방 취지를 유지하기 위한 최적화를 진행 중이다.
보안솔루션 기업 모니터랩은 웹방화벽으로 해킹 공격을 막고 위변조를 차단한다. 웹 공격을 AI 기술로 자동 탐지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회사의 주력 제품인 웹 방화벽 'AIWAF'는 웹 서버를 노린 해킹 공격과 웹사이트 위·변조나 부정 로그인, 민감 정보 유출 등을 차단한다. 지난해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4 AI 바우처 지원 사업'에 선정돼 AI 기반 웹 공격 분석 기술을 타르고스 보안관제 서비스에 적용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도 했다.
크라우드웍스도 딥페이크 대응 기술 개발 이력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회사는 AI 공공데이터 구축 사업자 중 하나로, 지난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한 딥페이크 방지영상과 랜드마크 이미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 특히 한국인 특성이 반영된 얼굴 합성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지 기술을 지원했다. 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는 크라우드웍스에 대해 '딥페이크 솔루션 개발에 있어 독보적인 지위를 가진다'고 평가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mrkt@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