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진출한 월드코인…반등세 이어갈까
AI 코인 대표주자
미국 진출 맞춰 코인베이스도 상장
![[뉴시스]18일(현지시각) 월드의 엑스(X·전 트위터) 페이지에 'Hello World'라는 문구와 함께 올라 온 사진. (사진=월드 엑스) 2024.10.18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4/10/18/NISI20241018_0001679860_web.jpg?rnd=20241018113956)
[뉴시스]18일(현지시각) 월드의 엑스(X·전 트위터) 페이지에 'Hello World'라는 문구와 함께 올라 온 사진. (사진=월드 엑스) 2024.10.18 *재판매 및 DB 금지
3일 업계에 따르면 월드코인 개발사 '툴스 포 휴머니티(Tools for Humanity·TFH)'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앳 래스트'(At Last) 행사를 열고 디지털 신원 및 금융 네트워크 월드가 미국 시장에 공식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진출로 미국 주요 6개 도시(애틀랜타·오스틴·LA·마이애미·내슈빌·샌프란시스코)에는 홍채 인식 기구 '오브(Orb)'가 설치된다.
미국 사용자는 오브를 통해 홍채 정보를 입력하고 '월드ID'를 발급받을 수 있다. 이같은 신원 인증 대가로 월드코인(WLD)을 제공받는다.
미국 사용자 확보에 따라 현지 거래소 상장도 이어졌다. 미국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지난 1일(현지시간) 월드코인을 상장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비자와 틴더 등 미국 현지 회사들과도 손잡았다.
우선 비자와 협력해 월드 비자 카드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 카드는 월드코인을 비롯해 가상자산 결제 기능을 지원할 예정이다. 월드ID 인증자에게만 발급된다.
틴더와는 월드 ID를 활용해 데이팅 앱 신원 인증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 이를 통해 봇 등 가짜 계정 문제를 해결할 방침이다.
이번 진출이 토큰 수요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상승 동력이 될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특히 가상자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국 내 사용자 기반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글로벌 가상자산 리서치 임원은 "월드코인이 미국 시장을 진출하면서 글로벌 생태계 확장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비자, 틴더 등 글로벌 대기업들과 협업은 월드코인 실사용처 확대와 신뢰도 제고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홍채 정보를 다루는 만큼 개인정보 보호 등 규제 환경 변화는 여전히 변수다.
국내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월드코인의 미국 내 규제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완화됐으나, 한국을 비롯해 다른 국가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와 데이터 보호 관련 논란은 잠재적 리스크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ee0@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