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2.75%로 인하했지만…"시중금리 하락폭 제한"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연 2.75%로 0.25%p 인하
금리인하분 선반영, 추가 인하 속도 조절 전망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02.25. photo@newsis.com](https://image.newsis.com/2025/02/25/NISI20250225_0020712340_web.jpg?rnd=20250225093622)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02.25. photo@newsis.com
25일 하나금융연구소의 하나금융포커스 보고서에 따르면 시중금리는 추가 기준금리 인하 시점 이연 가능성과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등으로 낙폭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됐다.
김완중 하나금융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시중금리가 이미 0.50%p (50bp) 수준의 금리 인하분을 선반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며 "추가 금리인하 시점이 이연될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는 점은 낙폭 확대를 제약하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금리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와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혼조세를 나타내고 있다.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 여파로 물가 상승 우려가 확산되고 미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조정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국채금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에 따른 금리 상승 압력, 국내 대규모 추경 논의 등으로 3년물 대비 10년물 금리의 변동폭이 제한되는 모습이다.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장기금리 하락이 제한되는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서울=뉴시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2%대 기준금리는 2020년 10월(2.5→3.0%) 이후 2년 4개월 만이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https://image.newsis.com/2025/02/25/NISI20250225_0001777710_web.jpg?rnd=20250225105155)
[서울=뉴시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2%대 기준금리는 2020년 10월(2.5→3.0%) 이후 2년 4개월 만이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한편 한은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3.00%에서 2.75%로 0.25%p 인하했다. 지난해 10월 3.50%에서 3.25%로 금리를 인하한 뒤 11월 한 차례 더 0.25%p 내리고, 이날 추가 인하를 단행한 것이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지난 2022년 10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2%대에 진입하게 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