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업자 먹잇감 마산만 인공섬, 해양자연공원 만들어야"
마산시민단체, 정부 주도 강조…대선 공약화 촉구도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마산YMCA와 창원물생명시민연대가 22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수 년째 표류 중인 마산만 인공섬 전체를 해양자연공원으로 만들자는 내용으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2025.05.22. hjm@newsis.com](https://image.newsis.com/2025/05/22/NISI20250522_0001849246_web.jpg?rnd=20250522130737)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마산YMCA와 창원물생명시민연대가 22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수 년째 표류 중인 마산만 인공섬 전체를 해양자연공원으로 만들자는 내용으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2025.05.22. hjm@newsis.com
두 단체는 "마산만 인공섬은 지난 1997년 정부의 '마산항 광역개발 기본계획'에 따라 3만t급 선박이 출입할 수 있는 가포신항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항로공사 준설토를 이용해 매립한 곳으로 면적이 19만4000여 평에 달하며, 이는 민간개발사업자들의 먹잇감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7년 5월 3일, 당시 문재인 대통령 후보가 마산 유세 때 "가포신항과 해양신도시(인공섬) 조성 전 과정을 철저히 평가해 정부가 책임질 일이 있으면 확실히 책임지고 새로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공언했고, 같은 해 9월 4일 문재인 정부의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도 동일한 입장을 밝혔지만 끝내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현재 마산만 인공섬은 창원시의 5차에 걸쳐 진행된 민간개발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발생한 소송이 진행 중이다"면서 "시민들은 철저히 소외된 채 민간개발사업자의 먹잇감이 되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무한한 잠재력이 있는 마산만 인공섬을 현재와 미래의 시민들을 위한 공공용지로 변경하여, 어떤 도시에서도 상상할 수 없는 해양자연공원으로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두 단체는 "해양자연공원이 실현된다면 지방 침체와 인구 변화에 대응하는 최상의 사례가 될 것"이라며 "정부는 마산만 인공섬 전체가 오직 시민들의 공간이 되도록 지원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창원지역 국회의원들과 선출직 공직자, 각 정당의 제21대 대통령선거 경남선거대책위원회는 인공섬을 공공용지로 만들기 위한 정책이 대선 후보 공약으로 채택되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요청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m@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