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전두환 기념 공원 철폐하라" 광주시민 등 4420명 서명

등록 2025.05.22 13:09:45수정 2025.05.22 14:30: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 회원들이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5주기 전야행사 오월시민난장에 참여해 내란수괴 전두환의 아호를 본따 이름붙여진 일해공원의 명칭 변경을 촉구하며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2025.05.17. leeyj2578@newsis.com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 회원들이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5주기 전야행사 오월시민난장에 참여해 내란수괴 전두환의 아호를 본따 이름붙여진 일해공원의 명칭 변경을 촉구하며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2025.05.17. leeyj2578@newsis.com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전두환 고향 경남 합천에 세워진 전두환 기념공원 '일해공원'의 명칭을 변경하고 잔재를 청산해야 한다는 현장 서명에 광주시민 등 4420명이 동참했다.

22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5·18민주화운동 전야제가 열린 지난 17일부터 정부기념식 당일인 18일까지 이틀 동안 재단이 진행했던 '전두환 잔재 청산 법안 마련 촉구 현장 서명' 결과 광주시민 등 4420명이 동의했다.

재단은 당시 일해공원 명칭 변경을 촉구하는 합천 시민단체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와 현장 서명에 나섰다.

지난해 11월 운동본부가 추진한 일해공원 명칭 변경 국회 청원이 동의 수 10만명을 넘기면서 답변 요건을 충족했지만, 국회가 오는 12월31일까지 답변을 미루면서 서명 운동에 나선 것이다.

재단과 운동본부는 서명 운동을 통해 일해공원 명칭 변경을 넘어서, 전두환의 잔재 청산과 내란 혐의가 있는 범죄자들에 대해 기념사업을 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법안 제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재단과 운동본부는 온라인을 통해 같은 서명을 받는 동시에 정치권의 도움을 받아 합천 지역 여론을 돌릴 방침이다.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5주기 전야행사 오월시민난장에 참여한 시민들이 내란수괴 전두환의 아호를 본따 이름붙여진 일해공원의 명칭 변경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2025.05.17. leeyj2578@newsis.com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5주기 전야행사 오월시민난장에 참여한 시민들이 내란수괴 전두환의 아호를 본따 이름붙여진 일해공원의 명칭 변경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2025.05.17. leeyj2578@newsis.com

고동희 운동본부 간사는 "국회 청원 답변 요건을 충족했지만 국회는 늘 그래왔듯 답변을 미루고 또 적당히 폐기할 것이 분명하다. 내란수괴 등 범죄자들을 미화하고 찬양하는 기념물 설치를 법으로 금지해야 하지만 국회가 움직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날 빈곤한 민주주의는 청산되지 못한 과거 내란의 역사 탓이다. 아픈 역사를 제대로 살피지 않는 한 비상계엄 등 민주주의를 뒤흔드는 사건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염려했다.

한편 일해공원은 지난 2004년 합천군 합천읍에 조성된 '새천년 생명의 숲'이 모태로, 2007년 합천군에 의해 전두환의 아호를 본딴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어 지역사회의 갈등 요소가 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leeyj2578@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