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인구소멸 전남, 이민정책 대응 어떻게?" 논의 장 열려

등록 2025.05.22 11:57:43수정 2025.05.22 13:2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전남도 공동 주최

[목포=뉴시스] 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는 22일 전남 목포대 신해양산업단지캠퍼스 대강당에서 전남도와 공동으로 '전남형 이민정책 포럼'을 열었다. (사진=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 제공) 2025.05.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목포=뉴시스] 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는 22일 전남 목포대 신해양산업단지캠퍼스 대강당에서 전남도와 공동으로 '전남형 이민정책 포럼'을 열었다. (사진=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 제공) 2025.05.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목포=뉴시스]변재훈 기자 = 전남의 지역 소멸 위기 대응 차원에서 실질적인 이민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는 22일 전남 목포대 신해양산업단지캠퍼스 대강당에서 전남도와 공동으로 '전남형 이민정책 포럼'을 열었다.

세계인의 날을 기념해 열린 이날 포럼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전남형 이민정책 방향'을 주제로 지역 실정 맞춤형 이민 정책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학계·유관기관·지역민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박민정 이민정책연구원 교육센터장은 첫 기조 발표 '전남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및 이민정책 과제'를 통해 외국인 주민의 정주 기간은 길어지는 반면, 의료 접근성·고용 안정성·차별 경험 등 여전히 복합적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지역공동체 참여와 복합 정책 기반 정주환경 조성이 핵심 과제임을 강조했다.

이어 김현민 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전남 기업체 실태조사·인력 수요 전망'을 발표하면서 "전남은 전국에서 외국인 근로자 수요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다. 어업·조선업 등 지역산업 맞춤형 직업훈련과 인재 패스트트랙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영희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전남형 이민정책 모델 및 브랜드 시책'을 발표했다. 조 연구위원은 농업·수산·조선업 분야에 특화된 유입형 모델, 외국인 유학생의 산업 연계형 정주전략, 가족 초청까지 연결되는 장기 정주형 정책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김경학 전남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유영민 전남도 이민정책과장, 박신철 산업인력공단 전남서부지사 부장, 오성록 동신대 교수, 이미나 광신대 교수, 최종원 광주출입국 관리과장 등이 참여한 종합 토론에서도 활발한 논의가 오갔다.

토론에서는 현장 중심 이민정책 실행 방안, 정주 환경 인프라 구축, 유학생 일자리 연계, 지방정부의 이민정책 역할 강화 방안 등에 대해 다양한 진단과 해법이 나왔다.

길강묵 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장은 "이민은 제도가 아니라 사람이다. 지역이 진심으로 환영할 때, 이주민도 지역의 일원이 된다"고 밝혔다.

한편 오는 24일에는 제18회 세계인의 날 기념 국적증서 수여식이 열린다.


◎공감언론 뉴시스 wisdom21@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