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수자원공사-한국물환경학회, 녹조 기술 발전 토론회…'녹조 제거기술 모색'

등록 2025.05.22 11:37:0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녹조 기술 원리 및 최신 동향…신기술 확산 필요성 등

[대전=뉴시스]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21일 대전 본사 세종관에서 한국물환경학회와 공동으로 '녹조 기술 심층토론회'를 가졌다. (사진=수자원공사 제공) 2025. 05. 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21일 대전 본사 세종관에서 한국물환경학회와 공동으로 '녹조 기술 심층토론회'를 가졌다. (사진=수자원공사 제공) 2025. 05. 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21일 대전 본사 세종관에서 한국물환경학회와 공동으로 '녹조 기술 심층토론회'를 가졌다고 22일 밝혔다.

 기후변화 영향으로 기온 상승과 강우 패턴 변화가 뚜렷해지면서 녹조가 일상적인 문제로 부상하고 있어 현장에서는 녹조 예방과 제거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동시에 녹조 대응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혁신 기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 3월 개최된 '녹조기술대전'에 이어 녹조 예방과 저감을 위한 신기술의 발전 방향을 한층 더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국물환경학회 김성표 회장(고려대), 박준홍 교수(연세대) 등 환경 분야 교수진을 비롯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등 전문가와 관련 업무 실무자, 기술을 개발한 민간기업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여했다.

이 자리에선 국내외 녹조 발생 및 대응 현황, 녹조 제거 기술의 현황과 원리,  해당 기술의 발전을 위한 전문가 제언 등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박준홍 연세대 교수는 '국내외 녹조 발생 및 대응 현황'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녹조는 전 세계적 현상이고 국내의 녹조 발생 정도는 해외와 비교해봤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은 아니다"면서 "우리나라는 녹조 저감을 위해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토론 참석자들은 녹조 대응 기술의 확산과 정착을 위해서는 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공공수요 창출, 민관협력 등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있었다.

수자원공사는 혁신 기술의 발굴과 확산을 위해 중소기업 대상으로 실증사업을 지원 중이다. 다양한 실증현장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하는 등 기술 적용의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박동학 수자원공사 환경에너지본부장은 "토론회를 통해 보다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녹조 관리 기술의 발전방안을 마련해 가겠다"며, "산업계와 학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지속하며, 녹조 문제 해결에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kshoon0663@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