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남아도는 전기 저장해 출력제어 완화…산업부, 540㎿ ESS 구축

등록 2025.05.22 11: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육지 및 제주 지역 대상 ESS 입찰 개시

2023년 대비 8배 이상 규모 확대 예정

LG전자가 한국동서발전과 함께 KG동부제철 당진공장에 구축 완료한 국내 최대 규모 피크 저감용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재판매 및 DB 금지

LG전자가 한국동서발전과 함께 KG동부제철 당진공장에 구축 완료한 국내 최대 규모 피크 저감용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육지 및 제주 지역의 전력계통 부족 및 발전소 출력제어 해소를 위해 540메가와트(㎿)에 달하는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ESS는 재생에너지 전력생산 등이 많은 시간에 전력 수요를 초과하는 잉여전력을 저장한 후 수요가 높은 시간에 방전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이고 출력제어를 줄일 수 있는 핵심 설비이다.

산업부는 2023년 8월 재생에너지 전력생산의 급격한 증가로 발전소 출력제어가 발생하는 제주 지역을 대상으로 65㎿ 규모의 ESS 물량을 도입하기 위한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진행한 바 있다.

65㎿ ESS 도입에도 전력 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은 봄·가을에 제주 지역을 비롯해 내륙 지역에서도 전력계통 부족으로 인한 출력제어가 발생함에 따라 ESS 추가 도입을 추진키로 했다.

산업부는 이번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통해 육지와 제주에 각각 500㎿, 40㎿ 규모의 ESS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올해 2월에 확정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ESS 도입 규모를 반영한 것이다.

적용 지역을 제주에서 육지로 확장한 540㎿ ESS 도입은 2023년 진행된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 대비 8배 이상 확대된 규모로 잉여전력 충전가능 시간도 하루 4시간에서 6시간으로 늘어난다.

특히 충전가능시간(6시간)을 감안하면 실제 설치되는 ESS 용량은 육지 3000㎿h, 제주 240㎿h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는 최종 낙찰자를 가격요소, 계통 기여도, 안전성 등 비가격요소를 종합 평가해 7월 중 선정할 예정이다.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ppkjm@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