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
![[전주=뉴시스] 전북특별자치도청.](https://image.newsis.com/2025/05/08/NISI20250508_0001836847_web.jpg?rnd=20250508102431)
[전주=뉴시스]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북자치도는 '전북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가 제10차 규제자유특구로 신규 지정·확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특구 지정은 2019년 친환경자동차, 2020년 탄소융복합산업에 이은 5년 만에 신규 지정된 전북의 세 번째 규제자유특구로, 그린바이오 기반의 신성장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추진돼 온 전략의 주요 성과로 평가된다.
특히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시장 수요가 급증하는 기능성식품 분야에서, 전북이 선제적으로 산업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자치도는 2024년 9월 '전북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 후보 특구로 선정된 이후, 식품기업 현장의 애로를 반영해 실증계획을 구체화해 왔다.
전북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 사업에는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총 159억원이 투입되며, 익산·전주·순창·남원 지역 15개 기업(기관)이 참여한다.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 총괄을 맡고,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유관기관이 협력해 실증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특구에서는 두 가지 규제특례 실증사업이 추진된다. 첫 번째는 '미등재 고시형 기능성 원료의 일반식품 적용 실증'으로, 11종의 기능성 원료에 대해 안전성 자료 확보, 생산기준 설정, 시제품 제작, 기능성 표시 등록까지 수행한다.
두 번째는 '건강기능식품 공유공장 운영 실증'으로, 스마트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기반 자동화 공정을 갖춘 시설에서 다수 기업이 공동 활용 가능한 제조 체계를 마련하고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게 된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특구 지정을 계기로 국가식품클러스터 2단계 조성과 푸드테크 기반 혁신 생태계 구축, 식품기업 유치 확대 등을 통해 도내 식품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방침이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이번 특구 지정은 전북이 보유한 식품산업 인프라와 잠재력을 바탕으로, 농생명산업 특화도의 위상을 입증한 계기"라며 "전북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되어 글로벌 식품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 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jk9714@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