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 아닌 죽비"…호남은 이재명 90% 몰표에 응답할까?[초점]
12·3계엄 5·18정신으로 막아 대선길
호남의 전략적 선택 대선결과 갈려
지역인재 중용·호남 정치 부활 촉각
![[나주=뉴시스] 조성우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7일 전남 나주시 금성관 앞에서 열린 유세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5.05.17. photo@newsis.com](https://image.newsis.com/2025/05/17/NISI20250517_0020813066_web.jpg?rnd=20250517125540)
[나주=뉴시스] 조성우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7일 전남 나주시 금성관 앞에서 열린 유세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5.05.17.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 구길용 기자 = 6·3 대선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1강1중1약' 구도의 대선판에 호남의 전략적 선택이 어떻게 작동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민주당의 바람대로 90% 이상 투표에 90% 이상 득표율로 이재명 후보에게 압도적인 지지를 보낼 것인지, 아니면 대안 후보나 투표 포기로 또다른 의사표시를 할지 주목된다.
이번 조기대선은 여느 대선과 달리 12·3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이 됐고 계엄 내란시태를 막은 핵심은 1980년 5월 계엄군에 맞선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이 깔려 있다는 점에서 호남의 선택에 각별함이 있다.
이 후보도 최근 전남 유세현장에서 "호남은 민주당의 텃밭이 아니라 죽비다. 민주당은 호남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다"며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번 21대 대선에서 이 후보의 호남지역 득표율을 90% 이상, 투표율도 90% 이상으로 잡고 있다. 가능하면 투표율을 역대 최대치인 92.5%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호남이 결집해야 압도적인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고 집권 이후에도 안정적인 국정 운영의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지난 20대 대선에서 이 후보의 광주·전남 득표율이 각각 84.8%, 86.1%에 그쳤다는 아쉬움이 반영돼 있다. 당시 호남에서 90% 이상 압도적인 표만 나왔다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의 0.73% 포인트의 격차를 뒤집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다.
지난 20대 대선에서 이 후보가 기록한 광주·전남 득표율은 19대 대선을 제외하고 민주당 후보가 받은 가장 낮은 수치였다. 19대 대선은 민주당 문재인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득표를 양분했던 선거였다.
하지만 이번 대선의 양상은 다르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지금 여론조사 추이대로라면 광주·전남에서 90% 안팎의 득표는 무난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12·3 계엄사태 이전까지만 해도 호남에 반민주당 정서, 반이재명 정서가 일부 있었던 게 사실이지만 계엄사태와 탄핵정국을 거치면서 지지층의 결집현상이 두드러졌다는 게 그 반증이다.
이 후보의 당선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호남이 압도적인 지지를 보여줘야 향후 호남의 정치적 입지나 지역발전에 유리할 것이라는 전략적 판단도 담겨 있다.
물론 민주당 일당독점 구도의 폐해가 가뜩이나 심한 호남에서 아무런 대안 없이 90% 이상 몰표를 주는 게 과연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겠느냐는 회의론도 있긴 하다.
그렇지만 이번 대선 만큼은 압도적인 지지로 계엄 내란세력을 심판해야 한다는 정권심판론에 무게추가 쏠리고 있다.
국민의힘도 지난 20대 대선 때는 호남에서 '마의 10% 벽'을 넘어섰고 광주 봉선동 일부에서 20%대 득표율까지 기록했지만 이번 대선판에 계엄사태의 후폭풍을 막기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호남의 선택을 가를 또하나의 관건은 투표율이다.
이재명 당선이 유력한 상황으로 갈수록 '굳이 나까지'라는 심리에서 기권표가 많아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광주가 역대 대선에서 줄곧 투표율 1위를 기록했으나 유독 17대 대선(64.3%)때만 저조했다. 당시 '이명박 대세론'이 강해 투표 자체를 포기한 유권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이번 대선 목표는 득표율 못지않게 투표율을 높이는 것에 맞춰져 있다. 호남에서 90% 이상을 1차 목표로 하되 가능하면 역대 투표율 최대치인 92.4%를 넘어 그 이상까지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민주당이 지역구별 투표율과 득표율을 해당 지역 의원이나 단체장의 평가에 반영하겠다는 방침까지 내건 것도 궁색하지만 같은 맥락이다.
조기대선의 성격 상 대선이 끝난 직후 곧바로 정부 조각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지역인재 중용에 대한 관심도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이미 인력 풀을 총가동해 조각작업에 들어갔다는 설까지 나온다. 호남에서는 호남총리론이나 장관급 입각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이 후보는 최근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총리든 장관이든 능력 위주로 가겠다. 탕평 안하면 죽는다"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역대 대선에서 그랬듯이 호남의 전략적 선택은 이 모든 것과 맞물려 있다.
![[광주=뉴시스] 조성봉 기자 =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7일 오전 광주 북구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를 마치고 이동하며 오월 어머니들에게 허리숙여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5.17. photo@newsis.com](https://image.newsis.com/2025/05/17/NISI20250517_0020812860_web.jpg?rnd=20250517104921)
[광주=뉴시스] 조성봉 기자 =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7일 오전 광주 북구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를 마치고 이동하며 오월 어머니들에게 허리숙여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5.17. photo@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kykoo1@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