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공무원 48% "생성형 AI 쓴다"…'보고서 작성' 70%
![[광주=뉴시스] 광주시 '보도자료 초안 작성 AI(인공지능) 대변인' 도입. (사진=광주시 제공) 2025.05.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5/04/08/NISI20250408_0020763777_web.jpg?rnd=20250408094112)
[광주=뉴시스] 광주시 '보도자료 초안 작성 AI(인공지능) 대변인' 도입. (사진=광주시 제공) 2025.05.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20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3월27일부터 4월4일까지 시청 공무원 2479명을 대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7.7%가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생성형 인고지능 활용자 중 63.5%는 무료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었다. 28.5%가 광주시가 지원하는 계정, 8%는 개인적으로 유료 구독 서비스를 이용했다.
가장 많이 활용되는 서비스는 챗 지피티(GPT)로 전체의 94%를 차지했다. 활용 목적은 보고서 작성(70.8%), 데이터 분석(9.6%), 디자인(1.1%) 순이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용 경험 부족'(64.7%)과 '필요성 미인식'(31.9%)으로 나타났다.
광주시가 지난해 8월 특별채용한 'AI 당지기'는 당직민원의 84%를 처리했다.
광주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상·하반기에 실습 중심의 업무 활용 교육과 전문가 특강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부서와 개인을 대상으로 60개 계정에 대해 디지털 신기술 구독료를 하반기에도 지속 지원할 방침이다.
시는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직원인 'AI 대변인' 서비스를 행정 실무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AI 대변인'은 챗 지피티를 기반으로 보도자료 초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학습됐다.
박혜미 광주시 데이터정보화담당관은 "업무 효율성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며 "맞춤형 교육과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전 직원이 디지털 전환에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gryu77@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