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정신을 헌법에" 도교육청, 대선 후보에 정책 전달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제77주년 제주4·3 추념일인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 행방불명인 묘역에 희생자 유족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사진기자회) 2025.04.03. woo1223@newsis.com](https://image.newsis.com/2025/04/03/NISI20250403_0020758000_web.jpg?rnd=20250403084859)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제77주년 제주4·3 추념일인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 행방불명인 묘역에 희생자 유족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사진기자회) 2025.04.03. woo1223@newsis.com
[제주=뉴시스] 양영전 기자 = 제주도교육청 제주4·3 정신 헌법 전문 수록 등 '제주교육 5대 정책'을 마련해 각 정당 대선 후보들에게 전달한다고 20일 밝혔다.
5대 정책은 ▲교육발전특구 사업의 지속 추진 ▲지역 특성에 맞는 교원 정원 배정 ▲제주4·3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학생 맞춤형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전문인력 확대 배치 ▲학교 안전경찰관제 전면 도입 등이다.
도교육청은 저출산과 수도권 인구 집중에 따른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공교육 강화를 위한 교육발전특구 사업의 지속 추진 및 지역 돌봄센터 지원 확대 의견을 제시했다.
4·3의 역사적 의미 기억과 국민 통합, 인권 가치 확산을 위해 4·3의 화해와 상생의 정신을 헌법에 명시하고, 전국 차원의 4·3 교육 의무화 방안도 내놨다.
또 강력범죄와 외부인 출입 등 학교 안전 위협이 증가하는 현실을 감안해 자치경찰단 인력을 활용한 학교안전경찰관 제도 전면 도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광수 제주교육감은 "제주는 지리적으로 섬 지역이며 소규모 학교가 많고 4·3 역사 등 특수한 교육환경을 가진 지역으로 국가 차원의 정책적 배려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대선이 제주교육을 재도약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0jeoni@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