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선로 입지선정위 착수" 한전 '최후통첩'에 영동군 '강력 반발'
정영철 군수 "영동군 훼손행위…일방 추진, 저항받을 것"

[영동=뉴시스]연종영 기자 = 한국전력공사가 '신장수 변전소~무주영동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입지선정 절차에 착수하자 충북 영동군과 이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20일 영동군에 따르면 한전 남부건설본부는 최근 영동군을 포함한 5개 도(충북·전북·충남·경남·경북) 8개 시·군에 '345㎸ 신장수~무주영동 PPS/Y 송전선로건설사업' 입지선정위원을 추천하라는 내용의 최후통첩성 공문을 보냈다.
지자체별로 주민대표 3명과 에너지 업무 담당 공무원 1명씩을 선정하라고 통보하고, 추천시한을 60일 이내로 못박았다. 그러면서 '기한내 추천하지 않으면 전원개발촉진법을 근거로 입지선정위원회 구성 절차를 생략하겠다'는 내용을 공문에 넣었다.
신장수~무주영동 송전선로 건설은 수도권으로 전력을 공급할 목적으로 345㎸급 초고압 송전선과 변전소 개폐소 등을 설치하는 국책사업(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다. 이 사업의 종료시점은 2031년 12월이고, 송전선로 전체 길이는 58.5㎞다.
정영철 영동군수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공식적·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드러냈다. 그는 "영동지역의 환경적·사회적·경제적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중대 사안"이라며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군민들도 집단 저항할 움직임을 보인다. 정 군수는 "사업대상지에 속하는 5개 읍·면 대표자, 사회단체 대표자들이 반대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있다"고 전했다.

송전선로사업 반대 성명 발표하는 정영철 영동군수 *재판매 및 DB 금지
정 군수와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 중 가장 큰 건 개폐소(PPS/Y)가 하필 이 지역(영동군 양강면 죽촌리)에 들어선다는 점이다. 개폐소는 전류가 통하는 길을 여닫는 시설이다.
철도로 비유하면 분기역·터미널·허브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축구장 5~6개 면적이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초고압 전류와 대형 송전탑이 집적되는 위험·혐오시설이다.
이 사업엔 영동군의회도 반대하고 있다. 군의회는 지난해 12월 '신장수~무주영동 송전선로 설치 반대' 결의문을 채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yy@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