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제조현장에 스마트 바람…"모든 과정 디지털 전환"
정부 지원 제외된 소기업 기초단계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도는 내달부터 기초단계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고도화 중점 추진 정책에 발맞춰 2023년부터 스마트공장 정부 지원이 중단된 중소기업을 자체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6월 모집 공고를 시작으로 도내 중소·중견기업 33곳을 선정해 기업당 최대 40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중기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도내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률은 8.79%로, 전국 평균(7.75%)을 웃돌았다. 이는 광역도 가운데 5년 연속 가장 높은 수치다.
중기부가 지난 4월 발표한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에서도 도내 제조기업 7863곳 중 1127곳(14.3%)이 정부와 지자체 지원을 받아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조사에서 전국 제조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기업 중 스마트 공장을 도입한 기업은 전체의 19.5%에 불과했고, 이 가운데 75% 이상은 여전히 기초단계에 머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도는 자체적으로 정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10인 미만 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해 영세기업의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춘다는 복안이다.
삼성전자와 연계해 매년 5개사에 스마트공장 구축비용(도 3000만원, 삼성전자 300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아울러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 공모를 확대 추진하기로 했다. 이 프로젝트는 AI 자율 제조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 지자체, 기업, 연구기관이 참여해 기술을 개발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일종의 '기술동맹'이다.
김수인 도 과학인재국장은 "기업의 규모나 업종 특성을 고려하고 실질적인 제조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기초부터 고도화, 자율제조 도입까지 제조 전 주기 디지털 전환을 통해 '충북형 제조혁신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ulha@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