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송파구 집값 상승폭 가장 커…전국은 보합

등록 2025.03.06 15:01:11수정 2025.03.06 15:16: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KB부동산 3월 첫주 아파트 동향

서울 전세가격 0.7%↑…매수의향도 상승세

[서울=뉴시스]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하락세를 멈추고 보합으로 전환됐으며 수도권은 0.04% 올랐다. 2025.03.06. (자료=KB부동산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하락세를 멈추고 보합으로 전환됐으며 수도권은 0.04% 올랐다. 2025.03.06. (자료=KB부동산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서울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 등 강남 위주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의 상승곡선이 더 가팔라지고 있다.

6일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0% 보합으로 지난해 11월18일 이후 하락세가 15주 만에 멈췄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도 0.04% 올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주 전보다 0.16% 올랐다. 최근 4주간 변동률 추이를 살펴보면 2월10일 0.03%→2월17일 0.08%→2월24일 0.14%→3월3일 0.16%로 상승폭이 점차 커지는 추세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을 직접 받은 송파구가 전주 대비 0.7%, 강남구가 0.46%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서초구(0.46%), 강동구(0.28%), 양천구(0.26%) 등도 그 뒤를 이었다. 노원구(-0.03%), 강북구(-0.02%), 금천구(-0.02%), 도봉구(-0.01%) 등은 하락했다.

경기도는 전주 대비 0.01% 하락했다. 과천시(0.49%), 성남시 수정구(0.11%), 하남시(0.1%), 성남시 분당구(0.06%), 수원시 장안구(0.06%), 용인시 수지구(0.05%), 시흥시(0.04%) 등이 상승했고, 이천시(-0.6%), 평택시(-0.1%), 안성시(-0.07%), 광주시(-0.07%), 고양시 일산서구(-0.05%), 군포시(-0.05%), 양주시(-0.04%), 동두천시(-0.03%) 등이 하락했다.

인천(-0.01%)은 부평구(0.02%), 서구(0.01%) 상승, 동구(-0.05%), 연수구(-0.05%), 미추홀구(-0.03%), 중구(-0.01%)가 하락했다.

다른 5개 광역시(-0.05%)는 울산(0.02%) 상승, 대전(-0.03%), 대구(-0.05%), 광주(-0.06%), 부산(-0.08%)은 하락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 매매가격은 -0.02% 하락했으며, 지역별로 전북(0.01%)은 상승, 강원(0%) 보합, 충북(-0.02%), 전남(-0.02%), 경남(-0.03%), 경북(-0.04%), 충남(-0.05%), 세종(-0.06%)이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 가격은 0.01%, 수도권은 0.0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세는 0.07% 상승했다. 용산구(0.29%), 양천구(0.24%), 송파구(0.2%), 강남구(0.17%) 등이 상승, 관악구(-0.1%), 동대문구(-0.08%), 금천구(-0.07%), 성북구(-0.04%) 등은 떨어졌다.

경기도와 인천의 전세가격은 각각 0.02%, 0.01% 상승했다. 특히 구리시(0.32%), 과천시(0.32%), 하남시(0.2%), 고양시 덕양구(0.17%), 양주시(0.13%), 용인시 처인구(0.09%), 수원시 팔달구(0.09%), 용인시 수지구(0.08%)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다른 5개 광역시(0.01%)에서는 울산(0.11%), 광주(0.04%), 부산(0.01%)은 올랐고 대전(-0.02%), 대구(-0.05%)는 하락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 전세가격은 -0.02% 하락세를 보였다. 강원(0.05%), 충북(0.04%), 전북(0.01%)이 상승하고, 경남(-0.03%), 전남(-0.03%), 경북(-0.04%), 세종(-0.04%), 충남(-0.07%)은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매수우위지수는 집값 상승세를 반영하듯 전주 57.4보다 높아진 63.4를 기록했다. 인천(28)을 제외한 5개 광역시에서는 울산(30.6)이 가장 높다. 대전 20.9, 대구 12.3, 부산 11.5, 광주 9.2로 모두 100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수자보다 매도자가 더 많다는 뜻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