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솔로 상철, 정치 유튜버 활동 논란…"난 무당층일 뿐"
온라인 커뮤니티에 유튜버 활동 폭로글
인종·국가·성별 혐오 발언 등 비판 제기
상철 "채널 운영 사실…부끄럽지 않아"
"폭넓은 시각 제시…추후 다시 운영할 것"

ENA·SBS플러스 '나는 솔로' 16기 출연자 상철이 과거 정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반미·친중·혐한 성향을 드러내고 한국 여성을 비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사진=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권세림 리포터 = ENA·SBS플러스 '나는 솔로' 16기 출연자 상철이 과거 정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반미·친중·혐한 성향을 드러내고 한국 여성을 비하했다는 논란이 제기됐다.
처음엔 이를 부인하던 상철은 이내 "정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한 게 맞다"고 인정하며 논란에 대해 해명했다.
지난 12일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는 '상철 과거 행적 까발려지면 여러모로 파장이 클 것'이라는 제목의 폭로 게시글이 게재됐다.
글쓴이는 과거 상철이 유튜브 채널 '폭렬 리뷰'를 운영하면서 정치적 이슈를 다루며 특정 정치 성향을 드러내는 것은 물론, 심한 욕설과 혐오 표현 등 과격한 언행을 사용했다고 폭로했다.
그는 "충격적인 건 유튜브 콘텐츠 내용으로 미뤄볼 때 상철의 사상이다. 친중, 반미, 국까(자국 혐오) 영상이 대부분"이라며 "미국을 까면서 정작 본인은 미국에서 살고 시민권의 이점은 놓칠 수 없다. 중국에 이민은 갈 생각 없는 유체 이탈 화법의 일인자"라고 비판했다.
또, 상철에 대해 "백인에 대한 열등감이 심하다. 교포 한국 여자가 본인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백인들이랑 사귀니까 이렇게 꼬인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 여자를 신랄하게 깠던 사람이 한국 들어와서 여자한테 눈치 보는 모습을 보니 불쌍하게 느껴진다"라며 " 그래도 늙은 사람 남은 인생도 고달파지게 만들고 싶지 않아서 폭로는 여기까지 한다"고 전했다.
이에 한 누리꾼이 상철의 인스타그램에 "폭렬 리뷰가 맞나요?"라는 다이렉트메시지(DM)를 보내자, 상철은 "전 윤석열 대통령 좋아한다. (폭로 글이 올라온) 사이트는 들어가지도 않는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계속해서 논란이 지속되자 상철은 1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시끄러운 게 싫고, 왜 정치 성향이 부끄러워해야 할 일인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어 일단 모르쇠했다. 문제의 채널에 대해 말씀드리겠다"라며 입을 열었다.
상철은 "저는 미국 시민권자이자 정치진영으로 굳이 분류하자면 무당층이다. 현재 시대정신에 맞는 생각과 아이디어를 지지하는 미국의 가장 큰 정치 진영이 무당층"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서 트럼프 정권 때 실험적으로 그때그때의 생각을 기록하는 형식으로 스탠드업 코미디처럼 풍자적 과장을 통한 하나의 인터넷 페르소나를 설정해, 복잡한 생각들을 유머스럽고 도발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며 "하나둘 영상을 올리다 보니 구독자가 만 명 정도 된 걸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상철은 "제가 공유한 생각을 이런저런 이유로 비판하시는데 영상 하나 하나 종교건 사회 이슈이건 자연현상이건 어떤 토픽이건 정말 깊이 파고 그것을 풍자적으로 논했다. 국제 이슈도 항상 한발 앞서 예측했고 국제적으로 폭넓은 시각을 제시했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제 채널 구독자분들 중엔 정말 훌륭하신 분들도 많았다. 거기서 제가 공유한 많은 생각이 많은 사람들에게 유익했다고 믿는다. 나중에는 시간도 없고 귀찮아서 닫았지만, 방송 끝나고 추후에 다시 할 생각"이라고 전했다.
더불어 "누군가의 정치적인 생각으로 그 사람의 가치와 삶을 판단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결국 이런 것들은 다 말 그대로 의미 없는 망상일 뿐이다. 이제부터는 좋은 것만 공유할 수 있도록 협조 부탁드리겠다"라고 덧붙였다.
상철은 "처음부터 솔직하게 말하지 왜 거짓말을 했냐"는 누리꾼의 지적에 대해 "함만(한 번만) 봐주세요"라고 답하기도 했다.
현재 상철의 SNS는 비공개로 전환된 상태다.
◎튜브가이드
▶홈페이지 : https://www.tubeguide.co.kr
▶기사문의/제보 : tubeguide@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S2lynn@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