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드·챗GPT에게 서로에 대해 물어봤다
구글, 지난 10일 챗GPT 대항마 바드 공개
아직은 불완전…특정 질문에 오답 내놔
바드·챗GPT에게 엉뚱한 질문 던져보니
![[ 뉴욕= AP/뉴시스] 구글연구소의 주빈 가라마니 부사장이 2022년 11월 2일 뉴욕의 한 행사장에서 구글 AI@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WHO는 의료용 AI의 개발과 사용에 철저한 감독과 연습, 신중한 적용을 하도록 하는 지침을 5월 16일 발표했다.](https://image.newsis.com/2023/02/02/NISI20230202_0019733285_web.jpg?rnd=20230517082602)
[ 뉴욕= AP/뉴시스] 구글연구소의 주빈 가라마니 부사장이 2022년 11월 2일 뉴욕의 한 행사장에서 구글 AI@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WHO는 의료용 AI의 개발과 사용에 철저한 감독과 연습, 신중한 적용을 하도록 하는 지침을 5월 16일 발표했다.
지난해 말 미국의 '오픈A'I가 챗GPT를 공개한 이후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은 식을 줄 모르고 이어지고 있다.
빅테크의 선두주자로 불리던 구글 역시 발등에 불이 떨어진 듯 AI 개발에 박차를 가했고, 지난 10일 AI 챗봇 '바드(Bard)'를 내놓기에 이르렀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AI 퍼스트 기업으로써의 여정이 시작된 지 7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흥미진진한 변곡점에 와 있다"며 "생산적인 AI를 통해 우리는 대담한 접근 방식으로 다음 단계로 나아가 모든 제품을 재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파차이 최고경영자의 뜻과 달리, 바드가 세상에 공개된 후 특정 질문에 대한 오답을 내놓는 상황이 발생했다. 는 사람들이 '구글이 너무 성급하게 내놓은 것 아닌가'라는 의구심을 품는 대목이었다.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바드가 공개된 이 시점에, 한 가지 의문이 들었다. 이 둘에게 서로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면 어떤 대답을 내놓을 것인가.
먼저 바드에게 챗GPT에 관해 아는지 질문을 던져봤다.
![[서울=뉴시스] 바드에게 '챗GPT에 관해 아는 게 있는가'라는 질물을 던져봤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3/05/18/NISI20230518_0001269234_web.jpg?rnd=20230518155354)
[서울=뉴시스] 바드에게 '챗GPT에 관해 아는 게 있는가'라는 질물을 던져봤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챗GPT에 대한 간략한 정보와 장점에 대해 소개했다. 또 챗GPT를 높은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말하는 것을 보니 챗GPT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듯했다.
이번에는 바드와 챗GPT 중 누가 더 뛰어난 지에 대해 물었다.
![[서울=뉴시스] 바드에게 '너와 챗GPT 중 누가 더 뛰어난가'라는 질물을 던져봤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3/05/18/NISI20230518_0001269235_web.jpg?rnd=20230518155439)
[서울=뉴시스] 바드에게 '너와 챗GPT 중 누가 더 뛰어난가'라는 질물을 던져봤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바드에 따르면 둘 다 다른 분야에 특화돼 있으며 선택하는 건 사용자에 달려 있다고 한다. 논란의 여지를 피하려 중립적인 대답을 내놓은 듯 했다.
반대로 챗GPT에게도 '바드에 관해 아는 게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서울=뉴시스] 챗GPT에게 '바드에 관해 아는 게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3/05/18/NISI20230518_0001269258_web.jpg?rnd=20230518160649)
[서울=뉴시스] 챗GPT에게 '바드에 관해 아는 게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챗GPT3.5는 2021년 이전의 정보를 기반으로 개발됐기에, 바드에 관해 아는 게 없다고 한다.
챗GPT와 바드. 이 둘이 우위를 가릴 수 없다면, 같은 질문에 누가 더 명쾌한 해답을 내놓는지 시험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어 최근 온라인상에서 이 둘에게 '12ℓ의 컵과 6ℓ의 컵이 있는 가운데, 6ℓ를 재고 싶으면 어떻게 할까'라는 질문이 화제가 되고 있어 시도해 봤다.
먼저 바드에게 물어봤다.
![[서울=뉴시스] 바드에게 '12ℓ의 컵과 6ℓ의 컵이 있는 가운데, 6ℓ를 재고 싶으면 어떻게 할까'라는 질물을 던져봤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3/05/18/NISI20230518_0001269238_web.jpg?rnd=20230518155533)
[서울=뉴시스] 바드에게 '12ℓ의 컵과 6ℓ의 컵이 있는 가운데, 6ℓ를 재고 싶으면 어떻게 할까'라는 질물을 던져봤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단순히 6ℓ의 컵에 물을 따르면 잴 수 있는 걸 어렵게 빙빙 둘러 해답을 내놨다. 쉬운 길을 놔두고 굳이 어려운 길을 골라 돌아가는 듯한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다음으로 챗GPT에게 물어봤다.
![[서울=뉴시스] 챗GPT에게 '12ℓ의 컵과 6ℓ의 컵이 있는 가운데, 6ℓ를 재고 싶으면 어떻게 할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3/05/18/NISI20230518_0001269266_web.jpg?rnd=20230518160952)
[서울=뉴시스] 챗GPT에게 '12ℓ의 컵과 6ℓ의 컵이 있는 가운데, 6ℓ를 재고 싶으면 어떻게 할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챗GPT 역시 길게 답을 늘어놨지만, 바드보다는 간단한 답을 내놨다.
또 '세종대왕이 삼성의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한 사실을 아는가'라는 엉뚱한 질문을 던져봤다.
이번에도 바드에게 먼저 질문했다.
![[서울=뉴시스] 바드에게 '세종대왕이 삼성의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한 사실을 아는가'라는 엉뚱한 질문을 던져봤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3/05/18/NISI20230518_0001269242_web.jpg?rnd=20230518155638)
[서울=뉴시스] 바드에게 '세종대왕이 삼성의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한 사실을 아는가'라는 엉뚱한 질문을 던져봤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대왕이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은 사실에 대해서는 알고 있으나, 커다란 오류를 범하고 말았다. 바드에 따르면 삼성의 갤럭시 스마트폰이 1993년에 출시했다. 1993년이면 휴대전화도 상용화되기 전이 아닌가.
![[서울=뉴시스] 바드의 답변에 오류가 있어 수정해줬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3/05/18/NISI20230518_0001269243_web.jpg?rnd=20230518155730)
[서울=뉴시스] 바드의 답변에 오류가 있어 수정해줬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삼성의 갤럭시 스마트폰은 2010년에 처음 출시된 것이라고 친절히 알려줬다. 순순히 오류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니 인간으로서 뿌듯한 느낌이 들었다.
다음은 챗GPT 차례.
![[서울=뉴시스] 챗GPT에게 '세종대왕이 삼성의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한 사실을 아는가'라는 엉뚱한 질문을 던져봤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newsis.com/2023/05/18/NISI20230518_0001269273_web.jpg?rnd=20230518161413)
[서울=뉴시스] 챗GPT에게 '세종대왕이 삼성의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한 사실을 아는가'라는 엉뚱한 질문을 던져봤다. 2023.05.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챗GPT는 바드와 같은 오류를 범하는 것 같지 않았다. 챗GPT의 명료한 답변을 보니 AI의 오류를 바로 잡아준다는 뿌듯한 감정이 사라졌다.
◎튜브가이드
▶홈페이지 : https://www.tubeguide.co.kr
▶기사문의/제보 : tubeguide@newsis.com
에디터 Sparky
tubeguid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