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3월 소비자물가 4.2%↑…2개월 연속 4%대 상승(2보)

등록 2023.04.04 08:11:34수정 2023.04.04 08:13: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통계청 '2023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

상승률 작년 3월 이후 1년 만에 최저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서울 시내에 설치된 가스계량기. 2023.03.30. bluesoda@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서울 시내에 설치된 가스계량기. 2023.03.30. bluesoda@newsis.com


[세종=뉴시스] 박영주 임하은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4.2% 오르며 2개월 연속 4%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류 가격이 큰 폭으로 내려가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내렸다는 분석이다.

작년 높은 물가에 대한 기저효과 등으로 소비자물가가 안정세를 찾고 있지만,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추가 인상, 주요 산유국 모임인 OPEC+의 원유 감산 등은 물가 상방 요인으로 꼽히면서 향후 불확실성을 키웠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56(2020=100)으로 1년 전보다 4.2% 올랐다. 상승폭은 작년 3월(4.1%) 이래 1년 만에 가장 낮았다.

계절적 요인 등을 고려해 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6.3%) 정점을 찍은 이후 8월(5.7%), 9월(5.6%), 10월(5.7%), 11월(5.0%), 12월(5.0%), 올해 1월(5.2%)까지 5%대 물가를 이어가다가 2월(4.8%)부터 4%대로 상승폭이 줄었다.

구입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보다 4.4% 상승했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7.3% 올랐다. 지난해 10월(11.4%)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4.8%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보다 4.0% 올랐다.
[세종=뉴시스] 통계청 3월 소비자물가 동향.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통계청 3월 소비자물가 동향.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gogogirl@newsis.com, rainy71@newsis.com

많이 본 기사